인터뷰 변화하고 완성하는 ‘대항적’ 문화예술교육 정원철 추계예술대학교 교수 작가로서의 정원철 교수를 떠올리면 아주 선명한 필치로 섬세하게 제작된 인물 목판화 작업을 기억하게 된다. 사람을 좋아하는 그의 마음은 공동체 기반 예술 작업과 연결되었는데, 미술을 전혀 접한 적이 없었던 지역 주민들과의 협업이나 시장 상인들의 삶을 나누는 작업에서 그는 사람들의 이웃으로 삶을 엮어내고 새로운 경험을 창조해 냈다. 백기영 _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부장 2017.02.27.
인터뷰 경계에서 공존을 외치다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 예술체험 워크숍 - 구수현, 김채린 칸칸이 빽빽한 점포가 뱀처럼 꿈틀대며 이어선 을지로. 빈틈없이 퇴적된 시간처럼 응축된 만물(萬物)이 가관이다. 미술작가들에게 을지로는 운명적인 공간이다. 작업을 하다보면 한번쯤은 보물찾기 하는 어린아이의 마음으로 어느새 을지로 골목을 헤매게 된다. 작가들은 종종 골목과 골목 사이, 만물과 만물 사이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물질을 탐색하고 사고를 실험한다. 박유미 _ 미술작가 2016.05.23.
국내소식 [충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충남ㆍ세종 프로젝트 공모 안내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와 충남문화재단에서 특별한 토요일을 만드는 주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충남ㆍ세종 프로젝트를 공모한다. 등록일: 2014.08.22. · 댓글 : 0 · 조회수 1,570 2014.08.22.
해외소식 [유럽] ‘예술가와 창의적 교육’ 실무 매뉴얼 개발사업 지난 2011년 10월, 벨기에의 브뤼셀에서 ‘예술가와 창의적 교육: 아동 창의성 발현 – 예술가를 위한 실무 매뉴얼(AiCE: Unlocking Children’s Creativity – A Practical Guide for Artists)’이 발행되었다. 등록일: 2014.08.05. · 댓글 : 0 · 조회수 2,541 2014.08.05.
국내소식 [울산] [2014 울산광역시 평생학습 프런티어 프로젝트] 심화과정 모집 안내 울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2014 울산광역시 평생학습 프런티어 프로젝트] 〈브런치 人 살롱〉 Teaching artist 심화과정을 7월 25일(금)부터 8월 11일(월)까지 모집한다. 등록일: 2014.07.31. · 댓글 : 0 · 조회수 1,810 2014.07.31.
국내소식 [아르떼_서울]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워크숍 참여자 모집 리틀아트의 대표 앨레나 앵커(Elena Janker)가 내한하여 아동과 교육강사를 대상으로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워크숍을 개최한다. 등록일: 2015.02.02. · 댓글 : 0 · 조회수 2,179 2015.02.02.
국내소식 [아르떼_서울] 뉴욕필하모닉과 함께하는 꼬마작곡가 워크숍 참여자 모집 안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꼬마작곡가>의 창시자인 뉴욕필하모닉의 존 딕(Jon Deak) 과 수석강사 리차드 캐릭(Richard Carrick) 이 함께하는 워크숍이 개최된다. 이번 워크숍은 아동과 교육강사를 대상으로 각각 1회씩 열리며, 하루 동안 꼬마작곡가의 전 과정을 체험할 예정이다. 등록일: 2015.02.02. · 댓글 : 0 · 조회수 2,113 2015.02.02.
아이디어 숨겨진 세계를 만나다 사람들이 현미경을 통해 미생물의 세계를 관측하기 시작한 1600년대 이전까지 미생물의 세계는 무지의 영역이었습니다. 그리고 ‘현미경 사진’이 등장하기 전까지, 관찰한 미생물의 모습을 손으로 그려 시각화할 수밖에 없었는데, 스케일 프리 네트워크(SFN, Scale Free Network)는 바로 이 점에 착안한 프로젝트를 고안해냅니다. 2015.01.12.
국내소식 [아르떼] 2015 아르떼 아카데미 추가 개설 연수 참여 안내 아르떼 아카데미(AA)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중심에 있는 예술강사, 지역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기획자), 학교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교원 등을 대상으로 2015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의 추가 연수 참여자를 모집한다. 등록일: 2015.01.12. · 댓글 : 0 · 조회수 2,883 2015.01.12.
아이디어 11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체험 첫눈이 내렸다. 벌써 시간이 이만큼이나 흘러 올해의 끝자락에 서 있음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11월이다. 이처럼 시대는 빠르게 변화하지만, 문화와 예술의 절대적인 가치는 예나 지금이나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고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을 안다. 2014.11.17.
인터뷰 알츠하이머 환자들과 함께 시를 노래하다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시를(Alzheimer’s Poetry Project, APP)」프로그램은 미국 내 24개 주와 호주, 독일, 폴란드, 대한민국 등에서 알츠하이머 환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기획한 개리 글래즈너는 2012년 10월 한국에 방문하여 예술강사들과 함께 시를 주제로 한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가 말하는 알츠하이머 환자와 시의 관계성, 나아가 노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시선을 살펴보자. 2014.10.13.
리포트 조금 특별한 이들을 위하여 아픈 곳을 어루만져주고 다시 희망을 꿈꾸게 하는 것. 소통의 벽을 허물고 서로를 이해하는 것. 바로 예술이 지닌 힘이다. 하지만 이를 향유하는 것은 사회적, 지리적, 경제적 요건 등 다양한 이유로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이야기만은 아닐 것이다. 양혜진_국제교류팀 2014.10.13.
아이디어 잉여롭게, 하지만 의미 있게 시간을 낭비해 보자 자주 잊어버리고 인식하지 못하지만 우리는 제법 많은 권리를 갖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많이 잊고 사는 권리가 있으니 바로,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이다. 2014.10.13.
공지사항 박정홍과 함께하는 ‘돌을 닦다’ 당신은 하루에 몇 번이나 핸드폰의 화면을 밝히나요? 하루에 몇 번 페이스북을 새로고침 하고, 몇 번 손톱을 깨무나요? 우리는 매일 24시간이라는 정해진 시간을 살아갑니다. 이 시간 속에서 나의 마음을 붙든, 불필요한 것들에 들이는 시간이 조금은 아깝습니다. 2014.10.13.
해외소식 [미국] 얼반 아츠 파트너십 (Urban Arts Partnership, UAP) 지난 8월, 미국 로스앤젤레스 및 뉴욕시 얼반아츠 사무실에서 예술기반 통합교육 (Arts Integration) 을 주제로 한 워크숍에 개최되었다. 이 워크숍은 예술강사 주체의 학교교사 대상의 연수로 음악•무용•시각예술•연극 등의 예술장르를 수업에 접목•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론을 공유하고 상호피드백 및 대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등록일: 2014.10.06. · 댓글 : 0 · 조회수 1,692 2014.10.06.
국내소식 [전북] 토요문화학교 운영인력을 위한 재충전 프로젝트 전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문화예술교육의 보다 나은 현장을 위해 운영인력 스스로 쉼표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 사업 ‘콤마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등록일: 2014.09.29. · 댓글 : 0 · 조회수 1,705 201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