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아르떼진 예술강사'

최신기사

축제로 안내하는 행복한 문화동반자 CEMEA

바캉스의 어원은 텅 빈 상태를 뜻하는 라틴어 vacatio(바카시오)에서 왔습니다. 일상에서의 스트레스를 비워내고 휴식을 취하는 시간인 바캉스. 그런데 프랑스에서는 바캉스를 단지 휴식으로써의 시간이라는 개념을 넘어, 무언가 배우면서 성장할 수 있는 시간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문화예술교육기관, 박물관이나 문화 공간, 국제 혹은 지역 축제들 및 여러 시민사회단체들과 협력관계를 이루어 시민들을 위한 문화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는 CEMEA에 대해 알아볼까요?     비움과 채움의 바캉스   프랑스 직장인은 연간 약 5주간의 유급 바캉스를 보내고, 학생들은 7-8월의 여름 바캉스와 성탄절 바캉스, 2월의 스키바캉스

오며가며 들르는 문화공간_행궁동 문화슈퍼

동네 어귀마다 하나씩은 자리 잡은 슈퍼는 오며가며 누구나 들를 수 있는 편한 공간입니다. 반면에 문화예술 공간이라고 하면 소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다소 거리가 있는, 예술가들만의 전용 공간이라고 생각하기 십상이죠. 그런데 수원시 행궁동에는 동네 주민, 지나가는 여행객 모두 가벼운 마음으로 들를 수 있는 문화 공간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행궁동 문화슈퍼에요. 지금부터 행궁동 문화슈퍼의 이야기를 시작할까요?     세계문화유산 ‘화성’ 안에 있는 동네인 행궁동. 도심 한 가운데 낮은 지붕, 골목길들이 남아있어 방문객들에게 갈수록 인기가 높아지는 곳입니다. 행궁동은 다른 동네에 비해 문화 예술적 자원이 풍부한

나만의 일상을 담은 시각적 일기장
예술가의 데이북

빼곡하게 가득 찬 일상적 메모들이 작품이 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오늘은 박이소 작가의 데이북(day book)을 만나봅니다. 작업에 대한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각종 메모, 스케줄 등이 담긴 시각적 일기장이기도 한 데이북. 창의성은 새로운 것을 제시하는 것보다는, 일상적인 것을 어떻게 독창적으로 인식하고 표현할 것인지 고민하는 과정에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자신을 물론 학생들에게 쓸 것을 독려했다고 하는데요, 함께 만나볼까요?   노트 속에는 각종 메모와 일상 경험, 낙서들이 가득합니다. 일상적인 내용들이 노트 속에서 나와 특별한 작품으로 만들어지는 순간, 평범한 데이북은 보물창고로 변신합니다.   작가이자 미술

길 위의 피아노, 소통을 연주하다
Play Me, I’m Yours

같은 공간에서 매일 만나는 사람들과 반갑게 인사를 나눈 적은 있나요? 사람들과 소통하기 어렵게만 느껴지신다고요? 갈수록 서로에 대해 무심해지는 현대인들의 눈앞에 피아노가 등장했습니다. 대화할 필요 없어요. 음악으로 소통하는 Play Me, I’m Yours 를 소개합니다.   낯선 사람들이 무심하게 지나치는 공간, 그 속에 피아노가 나타났습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피아노 앞에 앉을 수 있습니다. 손가락 사이로 퍼지는 피아노 소리, 사람들이 몰려들고 어느새 서로와 서로를 바라봅니다. 피아노 연주가 소통이 되는 순간, 바로 ‘Play Me, I’m Yours’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를 기획한 예술가 루크 저람(Luke Jerram)이 말합니다.

독일 음악서적 출판기업 쇼트(Schott)사의 문화예술교육 사회공헌활동

독일 마인츠(Mainz)를 대표하는 음악서적 출판 기업인 쇼트(Schott)는 미취학 어린이들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부터 할머니, 할아버지와도 함께 할 수 있는 가족단위 프로그램까지 모든 세대가 음악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합니다. ‘생활 속 음악, 음악과 함께 하는 삶’이라는 기업 철학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쇼트(Schott) 사가 어떻게 음악교육을 후원하는지 알아볼까요? 연방제로 운영되고 있는 독일에서 지역사회에서 성장해 발전한 기업은 그 지역의 자랑이자 자부심이기도 하다. 1770년 설립되었고 라인란트팔츠(Rheinland-Pfalz) 주의 수도인 마인츠(Mainz)를 대표하는 가족 기업 중 하나인 쇼트(Schott) 사도 이에 속한다. 200년이 넘은 역사와 전통을

나이, 성별 불문!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협동조합
_영화나눔협동조합 cinecoop 최종태 감독 인터뷰

나이, 직업 불문!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협동조합이 있습니다. 시작은 극장에서 보기 힘든 작은 영화들을 관객들에게 소개하는 것이었지만 점차 청소년들의 진로지도와 영화 콘텐츠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에도 영역을 넓혀 가는 영화나눔협동조합 cinecoop! 오늘은 cinecoop의 상임이사를 맡고 있는 최종태 감독과 이야기를 나눠 봤습니다.     Q. 영화나눔협동조합 cinecoop을 설립하게 된 배경을 소개해주세요! 2012년 제가 연출한 ‘해로’라는 영화가 개봉을 했습니다. ‘해로’는 제게 대종상 신인감독상까지 수상하게 해준 좋은 작품이었지만, 노인을 소재로 한 저예산 영화이다 보니 메이저 배급사에서 배급을 할 수 없었습니다. 가까스로

단어 세 개로 만나는 특별한 데이트
Blind Date with a Book

간단한 힌트만 가지고 데이트 상대를 찾아보라고 한다면 어떤 기분일까요? 내용물을 알 수 없는 선물을 열어 볼 때 만나는 설렘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시카고 예술대학 도서관에서 이처럼 특별한 데이트 상대와 만날 수 있는 소개팅을 연다고 합니다. 무엇일지 궁금하지 않나요?   ‘Childhood’ ‘Play’ ‘Share’ 무엇이 연상되나요? 단어 힌트만 보고 데이트 할 상대를 고르는 거랍니다. 세 단어만 가지고 상대를 예측하라니 다소 어렵나요? 얼마나 특별한 상대길래 이렇게 적은 힌트를 주냐고요?   시카고 예술대학 도서관에서는 매달 1번씩 특별한 만남의 이벤트를 여는데요. 그게 바로 이번에 소개할 ‘Blind

컬쳐포인트 _ 남아메리카에 퍼져나가는 문화커뮤니티

내가 사는 지역사회와 문화, 그리고 이웃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커뮤니티, 해외에서는 어떻게 펼쳐지고 있을까요? 브라질에서는 사람들이 문화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를 각 지역마다 만들자는 목표에서 출발한 정책사업 ‘컬쳐포인트’가 있는데요, 2003년 브라질 문화부가 시작해 지난 10년간 남미의 주변국에도 적지 않은 문화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각 지역 주민들의 유대관계를 돈독히 하는 것을 넘어서 범죄예방 프로그램까지 그 영역이 점차 넓어지는 컬쳐포인트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우리에게도 꽤 익숙해진 ‘엘 시스테마’의 일례와 같이, 남미의 여러 나라가 문화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사회적 분위기 전환을 꾀하고 있다.

무중력 청소년의 중력이 되어주는 음악과 사람들
유유자적한 사람들의 모임 ‘유자살롱’

주변의 사람들과 한데 어우러져 살아가는 우리들, 사람들과 소통하고 공감하며 생기는 유대관계는 마치 나를 붙잡아주는 ‘중력’과 같은데요. 그런데 학교를 그만둔 학생들처럼 ‘무중력 상태’의 사람들에게 음악을 통해 힘이 되어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음악을 통해서 타인에게 소통과 격려로 힘을 주는 ‘유유자적한 사람들의 모임’, 일명 ‘유자살롱’의 이야기를 지금 시작합니다.     Q1. 유자살롱에서 활동하는 분들을 간략하게 소개해주세요! 유자살롱은 현재 음악을 사랑하는 네 명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자살롱에 오기 전에는 각자 작•편곡가, 인디 밴드 리더, 대안학교 선생님, 공연 기획자 등 다른 영역에서 활동하여왔지만, 유자살롱에서 만나 새로운

어릴 적 그렸던 그림 가지고 계시나요?

얼마 전 화가 마르크 알란테가 2살 때부터 24년간의 그림을 공개했습니다. 생각지도 못한 선물을 받은 것처럼 어린 시절 기억 속으로 여행을 떠날 수 있었을 텐데요. 이렇게 어릴 적 서툰 손으로 그렸던 그림들을 어른이 되어 만난다면 어떤 기분일까요?   (위)2살 때 그린 그림 (아래, 왼쪽부터)7살, 8살, 13살, 14살 때 그린 그림   얼마 전 화가 마르크 알란테가 2살 때부터 24년간의 그림을 공개했습니다. 첫 번째 그림은 마르크 알란테가 2살일 적 태어나서 처음으로 그렸던 그림이라고 합니다. 독특한 작품세계를 통해 유명 작가로 활동중인 마르크의 이러한

드라마, 연극 교육의 미래를 논하다
IDEA 2013 Paris 세계 총회 현장

국제적 규모의 드라마, 연극 교육 단체인 IDEA(International Drama and Theatre Education Association, 국제교육연극협회). 3년마다 다양한 국가의 연극 현장 전문가와 예술가, 교육자 등 드라마, 연극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모여 서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청소년의 삶에 중요한 한 부분이 될 수 있는 드라마, 연극 교육 보급에 힘쓰고 있는 IDEA. 제8회 파리 총회에서는 어떤 이야기들이 오고 갔을까요?   드라마, 연극 교육의 세계적 이해와 발전을 위한 IDEA 2013 Paris 세계 총회 현장   International Drama and Theatre Education Association (이하IDEA)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선생님을 통해 재능기부를 배웠어요.”
아르떼365 개편이벤트 2_김선두 명예교사와의 특별한 데이트 후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국화가, ‘김선두 명예교사와의 특별한 데이트’가 8월 26일 월요일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김선두 명예교사의 작업실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는 아르떼365의 두 번째 개편이벤트로 ‘명예교사의 물건’ 인터뷰에 함께 참석하고, 작업실 구경도 하며 맛있는 저녁식사 시간을 갖는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날 ‘김선두 명예교사와의 특별한 데이트’에 초대된 독자는 충남 논산에서 올라온 김현숙 씨(공예 예술강사)였습니다. 김현숙 씨는 “미술을 하고 싶었으나 못하고, 방송통신대학교를 거쳐 공예강사가 되었다.”고 말하며, 김선두 화가의 작품 중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박꽃」을 꼽았습니다.   김선두 명예교사의 작업실에 들어선 순간, 웬일인지 김선두 명예교사와

유쾌한 퇴근 후 모임, 직장인들의 문화예술교육
산업단지 문화예술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사업_창원 희망나라 ‘아싸’ 근로자 합창단

회사원, 공무원, 사진작가, 바리스타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한데 모여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를 형성한 곳이 있습니다. 바로 산업단지공단을 아름다운 하모니로 채워가는 창원 희망나라 ‘아싸’ 근로자 합창단인데요. 가족같은 분위기의 합창단을 통해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힘을 받아서 더욱 열심히 일할 수 있다는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사람들. 그들을 지금 만나볼까요?   8월 21일 수요일 저녁 8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퇴근하여 어슴푸레한 불빛만 창밖으로 새어나오는 창원 산업단지공단 동남지역본부 대회의실로 사람들이 하나둘씩 모여듭니다. 대회의실 문턱을 넘는 순간 서로에게 반가운 인사를 나누며, 이내 시끌벅적하게 이야기꽃을 피우는 사람들. 이들은

시민, 영화를 만들다_시민영화제작소 카사노바 오점균 감독 인터뷰

청년부터 노인까지 평범한 시민들이 직접 영화를 만든다? 수원문화재단의 시민영화제작소에는 ‘카사노바’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다양한 시민영화감독들이 있다고 합니다. 그들이 만든 ‘시민영화’에는 각자의 경험과 삶의 이야기가 물씬 배어나온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시민영화제작소 ‘카사노바’를 기획한 오점균 감독에게 그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Q. 시민영화제작소를 만들게 된 계기와 이유는 무엇인가요? 2011년 5월에 수원의 시인, 화가, 사진가 등 문화인들과 함께 ‘영사기’(영화사랑 세상 읽기)라는 영화감상 동호회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월 1회 아프리카, 남미 등을 포함한 여러 나라의 다양한 예술영화를 상영했습니다. 관객들은 하루 평균 50-60명이었는데, 기존의 상업영화와는 다른 영화

르떼 이야기 5_노란 잠수함

2박 3일 동안 어린이 친구들을 마음껏 예술의 바다에서 뛰어놀게 한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노란 잠수함! 내가 좋아하는 걸로 오리고 붙이는 ‘컬렉션’도 만들고, 나만의 음악 앨범도 만들어보는 등 12개의 테마로 준비된 노란 잠수함에 르떼도 탑승했답니다. 르떼 웹툰 다섯 번째 이야기, 함께 보실까요?     ㅡ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http://www.woorockboorock.or.kr/ ㅡ 르떼 집 주소 http://www.facebook.com/artejockey “내가 보고 싶으면 언제든 우리집에 놀러와~” -르떼

소외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의 효과 연구

소외계층 아동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 공연 관련 무료 예술교육을 하는 호주의 국립 비영리 예술교육단체 더 쏭 룸(The Song Room)과 미국 펜실베니아의 예술교육 중점 유치원 사례를 눈 여겨 봅니다. 문화예술교육이 정서적 안정과 자신감 회복은 물론 나아가 아동들에게 행복을 느끼게 한다는데요. 함께 살펴볼까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성과에 대한 평가에 대해, 수치적 평가기준보다는 교육받는 주체의 정성적 자체평가가 결과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과 호주에서 소외계층 아동의 예술교육 효과를 연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