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심포지엄'

최신기사

[아시아] 2014 아시아예술교육기관연맹 심포지엄

아시아예술교육기관연맹(Asian League of Institutes of the Arts, ALIA)은 2012년 10월에 창설된 아시아 예술교육기관들의 협의체로 한국, 대만, 몽골, 인도네시아, 일본,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네팔, 싱가포르, 터키,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등 15개국의 17개 예술교육기관이 회원으로 함께하고 있다.

10년의 성과를 이어갈 성장의 책임

데이비드슨 헵번 제35차 유네스코 총회 의장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은 우리나라가 그 탄생을 이끌어냈다. 2011년 11월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개최된 제36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우리 정부가 발의한 ‘서울 아젠다 : 예술교육 발전 목표’ㄴ를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매년 5월 넷째 주를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으로 선포한 것이다. 당시 그 과정을 함께했던 데이비드슨 헵번(Davidson Hepburn) 전 유네스코 총회 의장이 주간 행사 개막식 축하인사, 국제심포지엄 발표를 맡아 4년 만에 한국에 다시 방문했다.

새로운 10년을 여는 닷새간의 여정

2015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② 주요 프로그램

2015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이 5월 26일부터 30일까지 부산을 중심으로 한 경상권에서 열린다. 부산 원도심(중앙동)의 인쇄골목 일대와 수십 년 된 쌀 창고에서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한 비욘드 개러지 등 삶의 흔적이 묻어있는 공간에서 펼쳐지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5월의 마지막 주를 부산에서 보내고 싶다는 마음이 절로 든다. 특히 올해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10주년을 맞이하여, 행사 기간 중 그간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걸어온 길과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나아갈 길에 대해 현장의 예술가·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생각해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삶으로 스며드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2019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간 자료 모음

2019년은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는 한 해였다. 특히 삶의 모든 순간에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삶의 터전인 지역 곳곳에서 모든 국민이 누릴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으로 변화를 꾀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이용실태, 수요를 조사하고, 지역 문화예술교육 계획을 분석하는 등 정책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조사·연구가 진행되었다.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에서는 성인(5060), 워라밸, 공간 등의 주제를 문화예술교육 관점에서 생각해보는 공론의 장을 마련했다. ‘영유아·어린이 문화예술교육’을 키워드로 개최한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부터 직장인, 신중년 등 생애주기별과 문화파출소, 예술꽃 씨앗학교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성료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이규석, 이하 교육진흥원)이 5월 20일(월)부터 ‘영유아·어린이 문화예술교육’을 키워드로 개최했던 가 25일(토) 성황리에 폐막했다. 올해 8회째를 맞은 주간행사는 ‘처음의 시간, 끝없는 시작 –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라는 슬로건 아래,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을 비롯한 전국 문화기반시설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은 2011년 11월 유네스코 총회에서 우리 정부가 발의한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가 만장일치로 채택돼, 매년 5월 넷째 주를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으로 선포한 것에서 시작했다. 올해에는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강화’라는 정책 목표에 발맞춰 그간 문화예술교육에서 다소 소외됐던 영유아

끝없는 시작 : 예술로 만나는 탐구자들의 이야기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프리뷰② 국제심포지엄Ⅱ

국제심포지엄Ⅰ에서 ‘아주 어린 사람들’을 바라보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고민해보았다면, 이제 실천을 이야기할 차례다. 2019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Ⅱ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실천’에 대해 다룬다. 어린이가 주인공이 되는 국내외 여러 문화예술교육 기관에서는 어린이들에게 예술을 직접 접하고 탐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창의적인 예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고, 스스로 표현할 수 있는 학습법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사례 그리고 이를 위한 창조적인 교육환경 조성까지, 영감과 공감을 주는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준비되어 있다. 영유아‧어린이 문화예술교육에 몸담고 있는 예술가와 교육자, 그리고 기관의

처음의 시간, 끝없는 시작 –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프리뷰① 국제심포지엄Ⅰ‘처음의 시간: 아주 어린 사람들에 대하여’

‘영유아와 어린이’. 그들은 누구이며,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당신은 왜 영유아와 어린이를 만나는가? 당신은 무엇을 가르치고, 동시에 무엇을 가르치지 않는가? 아이들에게는 아름다운 세상에 대해서만 알려주어야 하는가, 사회의 비극, 죽음을 다루면 안 되는가? 아이들은 정말 창의적인가? 위와 같은 질문을 한번쯤 떠올려보았다면, 질문의 답을 찾았거나 아직 찾고 있는 중이라면, 이 행사에 주목하자. 올해로 여덟 번째를 기념하는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가 ‘영유아, 어린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주제로 5월 20일(월)부터 26일(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및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개최된다. 이번 주간 행사에서는 국제심포지엄ⅠⅡ, 해외전문가 워크숍,

2019 서울국제핸드 메이드페어 제3회 서울핸드메이드포럼

2019 서울국제핸드메이드페어가 5월 16일(목)부터 19일(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다. 핸드메이드 트랜드와 산업 발전을 볼 수 있는 다양한 행사와 함께 담론, 정책제안, 연구 등 학습과 논의의 장으로 ‘서울핸드메이드포럼’이 열린다 올해로 3회를 맞은 서울핸드메이드포럼에서는 두 가지 주제를 다룬 포럼이 열린다. 5월 17일(금)에는 ‘수제작(핸드메이드)과 리터러시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제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광석 교수의 기조발제와, 생활기술과놀이멋짓연구소 김성원 소장, 릴리쿰 호랑, 여성기술랩 전유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은기·신현우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5월 18일(토)에는 바우하우스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으로 ‘모던 디자인의 산실, 바우하우스의 공방’이라는 제목으로 바우하우스 공방의 성격과 의미, 바우하우스의 금속공방·직조공방·인쇄공방에 대하여 디자인평론가 최범,

세계지도로 보는 2018 문화예술교육 동향

2018 하반기 해외 문화예술교육 주요행사

벌써 2018년의 반이 지나갔다. 올해가 가기 전에 문화예술교육 소양을 쌓을 수 있는 세계 각국의 2018년 하반기 국제행사 9개를 선정하였다. 7월부터 12월까지 세계 곳곳에서 펼쳐지는 문화예술교육 주요행사를 소개한다. ① [미국] 2018 링컨센터 에듀케이션 여름 포럼 [7.9(월) ~ 7.27(금)] ② [그리스] 2018 InSEA 세미나 [7.16(월) ~ 7.19(목)] ③ [에스토니아] 제10회 국제문화정책연구 컨퍼런스 [8.21(화) ~ 8.25(토)] ④ [미국] 2018 미국 예술교육 파트너십 연례회: 학생들의 성공으로 이끄는 예술 [9.12(수) ~ 9.13(목)] ⑤ [미국] 제4회 국제예술강사대회 [9.13(목) ~ 9.15(토)] ⑥ [나미비아] InSEA 세미나: 예술교육을 통한

예술과 기술의 접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

2018 문화예술교육 국제심포지엄 리뷰②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지난 5월 23일 마포 문화비축기지에서 국제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올해 행사에서는 ‘4차 산업혁명,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을 주제로 하여, 4차 산업혁명으로 빚어질 미래기술 환경에서, 예술의 본질이 무엇인지,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 어디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오전의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의 기조연설과 토론에 이어 오후에 이루어진 2부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6명의 연사들이 사례 위주로 예술과 기술의 접점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및 창작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로 대변되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주목 받고 있는 주제이기에 많은 관계자가 자리에 함께하였다. 변치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