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문화예술교육 지식·정보·학습의 장 2017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 내다보기 2011년 11월 4일,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36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서울 어젠다 : 예술교육 발전목표」가 회원국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2010년 5월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결과물인 ‘서울 어젠다’의 이행과 관련하여 유네스코 및 회원국에 적극적인 후속조치를 권고하고, 그 일환으로 매년 5월 넷째 주를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으로 선포한 것이다. 콘텐츠개발팀 2017.04.03.
리포트 2017년 하반기 해외 문화예술교육 주요행사 풍성하고 다채로운 문화예술교육의 향연 2017년 하반기 세계 각국의 주목할 만한 문화예술교육 행사를 정리하였다. 세계 각 국에서 준비하고 있는 컨퍼런스, 심포지엄 등 주요 행사를 알아보자. ▼ 개최 순 [미국] 2017 링컨센터 에듀케이션 여름 포럼(Lincoln Center Education Summer Forum) 7월 10일부터 28일까지 ‘2017 링컨센터 에듀케이션 여름 포럼(Lincoln Center Education Summer Forum)’이 개최된다. 링컨센터는 매년 3주간 예술가, 교육자, 그리고 예술, 교육 및 지역 사회에 관심이 있는 전 세계 참가자들에게 참여의 장을 마련한다. 이번 포럼은 전문가대상 체험형 워크숍과 기조연설, 종합토론 및 공연으로 구성된다. 주제는 ‘예술가와 교육자를 위한 교육랩(Learning 정리_대외협력팀 한세린 2017.07.10.
인터뷰 ‘교육·학습·헌신’ 전문적인 창의학습자의 길 안나 커틀러(Anna Cutler) 영국 테이트미술관그룹 교육 총괄 영국 테이트미술관의 러닝부서를 총괄하고 있는 안나 커틀러(Anna Cutler, Director of Learning at Tate)를 만났다. 2017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심포지엄과 2017-2018 한영 상호교류의 해를 계기로 진행된 양국 라운드테이블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그녀로부터 최근 테이트미술관과 영국의 문화예술교육 동향, 동시대를 함께 하는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자에게 던지는 메시지 등을 들어봤다. 영국 테이트미술관은 많은 문화예술교육자가 방문하고,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테이트미술관 4개 분관의 교육부문을 총괄하고 있는데, 최근에 러닝부서에서 중점을 두는 추진방향과 전략을 말해 달라. 최근 테이트미술관 러닝부서의 전략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지난 10년간의 장기 계획이 황지영_국립현대미술관 교육분야 학예연구사 2017.06.19.
리뷰 예술적 역량과 교육적 실천 사이에서 한국문화교육학회 세미나 ‘문화예술교육 인력의 전문성’ 지난 5월 27일,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맞아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간 학문적 교류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총 10개 학회의 연합 세미나가 상암동 곳곳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 장르·분야별 문화예술교육 연구방법론, 교육과정 연구 및 교재 개발, 통합적 접근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확장 등 다양한 주제로 열띤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 중, 한국문화교육학회가 주관한 ‘문화예술교육 인력의 전문성’ 세미나를 찾았다. 이 세미나는 1부 ‘문화예술교육의 인력양성 정책’, 2부 ‘예술강사의 역량과 학습경험’으로 나뉘어 약 60여 명의 전문가와 관계자가 모인 가운데 진행되었다. 이초영 _ 문화기획자, 별일사무소 대표 2016.06.20.
이슈 만나고 이야기하고 생각이 피어나는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프리뷰② 학술·교류 5월 24일(화)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누리꿈스퀘어 국제회의실에서 2016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예술가와 예술교육’이 개최된다.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예술의 가치와 힘에 대한 국가별 관점을 살펴보고, 최근 일어나고 있는 예술교육의 변화와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2013년 서울을 시작으로 일본, 중국에서 순회 개최되어 올해 다시 서울에서 열리게 되었다. 정리 _ 대외협력팀 2016.05.23.
리뷰 공적개발원조의 새로운 패러다임 2016 한국예술경영학회 학술심포지엄 ‘국제 문화예술교육 교류 협력: 성과와 향후 과제’ 지난 4월 16일 대학로 예술가의집 다목적홀에서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업영역 중 하나인 ‘국제 문화예술교육’ 부문을 주요하게 다룬 학술심포지엄이 열렸다. 한국예술경영학회와 한국문화교육학회가 공동 주최로 나선 이번 심포지엄은 양지연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 교수가 사회를 맡았고, 세 발제자의 주제 발표에 이어 네 명의 지정 토론자와 관련 주제에 참가한 연구자가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염혜원 _ 자유기고가 2016.04.25.
리포트 국제적 가이드라인을 넘어 새로운 도전으로 서울 어젠다와 후속 연구 현황 한국정부는 국제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 발전과 진흥을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왔다. 2010년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The 2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개최와 대회 결과물인 ‘서울 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The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가 유네스코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것이 그 대표적인 성과이다. 권민영 _ 대외협력팀 2016.04.11.
리뷰 모두 함께 꽃피우는 문화예술교육 축제 달라지는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봄이 왔다. ‘봄 캐롤’이 들려오기 시작했다. 처음 그 노래를 듣고 두근대던 4년 전부터 어김없이, 우리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준비하며 봄을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같은 음악도 듣는 이의 시간과 경험이 더해져 저마다의 감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처럼, 어느덧 다섯 번째를 맞이하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바라보는 시선과 기대도 모두 다를 것이다. 이경미 _ 기획사업단 대리 2016.03.28.
리포트 간직하고 들여다볼 만한 2015년 문화예술교육 자료 2015년 발간 자료 모음 2015년은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장면들이 펼쳐진 한 해였다. 매년 5월 넷째 주에 개최되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가 처음 지역에서 열렸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 10주년을 맞아 문화예술교육 10년을 조명하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이 발간되었다. 이와 더불어 워크숍과 포럼, 심포지엄 등을 통해 국내외 전문가와 관계자들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살피고 준비하는 다양한 논의의 장들이 펼쳐졌다. 또한 새로운 정책사업으로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기획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저변을 확대해 나갔던 한 해 이기도 했다. 정리_대외협력팀, 상상놀이터 2016.02.29.
리포트 파트너십 구축과 적극적 변화의 움직임 2015년 해외 문화예술교육 동향 리뷰 2015년 해외 각국에서는 학교 안팎에서 펼쳐지는 문화예술교육을 확대하고, 추진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굵직한 정책적 변화들이 있었다. 특히,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문화예술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공감을 넘어 구체적인 이니셔티브와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적극적인 변화를 모색한 움직임들이 눈에 띈다. 미국, 영국, 프랑스의 정책변화를 중심으로 최근 2~3년간의 흐름 안에서 지난해 해외 문화예술교육 주요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권민영 _ 대외협력팀 2016.02.22.
리포트 2016 세계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주제들 2016년 상반기 국내외 주요 행사 이맘때면 세계 각지에서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어떤 행사들이 펼쳐지는지 궁금해 할 분들을 위해 정리했다. 작년 하반기부터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며 이미 1월부터 행사를 개최한 곳들도 있다. 현장에 직접 가보지 못하더라도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관심 있는 행사는 달력에 표시 해 두는 것도 방법! 2016년 상반기 세계 곳곳의 문화예술교육 행사들을 살펴보자. 양혜진 _ 대외협력팀 2016.02.01.
이슈 예술교육의 확산, 새로운 방식의 협력으로 2015 해외탐방 리포트③ 제78회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 컨퍼런스 지난 2015년 11월 11일부터 14일까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제78회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 컨퍼런스(78th Annual Conference for Community Arts Education)’가 열렸다.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단체 조합(National Guild for Community Arts Education)이 주관하는 본 컨퍼런스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참여하는 것은 작년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이다. 특히 올해는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 탐방 조사를… 심은민(기획사업단) / 권재현 , 이주영(교육개발팀) 2016.01.25.
이슈 시각예술교육의 이정표를 제시하다 2015 해외탐방 리포트② 2015 인게이지 국제 컨퍼런스, 발틱현대미술센터 지난 2015년 11월 19일부터 20일까지 양일 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2015 인게이지 국제 컨퍼런스(2015 Engage International Conference)’가 개최되었다. 시각예술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네트워크 조직 ‘인게이지(Engage)’에서 주최한 이번 컨퍼런스는 ‘예술 및 예술가와 작업하는 젊은 세대(A Different Game: Young people working with art and artists)‘라는 부제아래 미술관이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서 아동청소년 중심의 젊은 세대와 예술가들의 협업 과정에 대한 주요 과제 및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조수연 _ 가족문화팀 2016.01.25.
이슈 연결하고 매개하는 문화예술교육 2015 해외탐방 리포트①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여 예술강사 인터뷰 다른 나라의 학교, 지역,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는 어떠한 방식으로 협력할까? 해외 문화예술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및 기관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문화예술교육을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지난해 11월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번 사업에 참여한 5명의 예술강사를 만나 미국, 영국, 호주 3개국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정리 _ 상상놀이터 2016.01.25.
해외소식 [미국] 주(州) 예술교육 정책 심포지엄 개최 미국 워싱턴DC에서 2015년 3월 21일 <주별 예술교육 정책 심포지엄(State Policy Symposium)>이 개최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크리스미닉(Chris Minnich), 주 교육감협회(CCSSO) 전무이사,드보라기스트(Deborah Gist), 로드아일랜드 교육국장, 크리스토퍼코크(Christopher Koch), 일리노이 주 교육감등을 비롯한 교육, 예술, 문화, 산업 분야 전문가가 한 자리에 모여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을 예정이다. 등록일: 2015.01.26. · 댓글 : 0 · 조회수 1,575 2015.01.26.
해외소식 [미국] 미국인을 위한 예술 ‘주(州)단위 정책 시범사업’ 미국 ‘미국인을 위한 예술(Americans for the Arts, AFTA)’에서 예술교육의 주(州)단위 지원 강화 및 지역주민의 예술접근성 강화를 위한 정책전략 수립을 위해 ‘주단위 정책시범사업(Americas for the Arts’ State Policy Pilot Program)’을 진행한다. 등록일: 2014.12.01. · 댓글 : 0 · 조회수 2,335 201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