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e [365] 이벤트

독자 참여 이벤트
【꼭 확인해주세요!】
– 이벤트 참여 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벤트 응모자에서 제외됩니다.
– 당첨자 발표는 공지사항과 개별 메일을 확인해주세요.
–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참여하신 경우 당첨자 선정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당첨 후에도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상품 발송은 모바일로 진행되며 당첨자의 사정으로 인한 발송 오류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지나친 비방이나 욕설, 광고, 도배 댓글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96 Comments
  • author avatar
    조주형 2020년 08월 10일 at 5:19 PM

    서귀포귀농귀촌협동조합의 마을기업 제주살래 영상을 보면서 제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떻게
    함께 서로 도우면서 살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마을기업을 만들어낸 이야기를 보면서 귀농과 귀촌을
    준비하는 분들이 제주에 가서 살고 싶은 마음이 들게 만들 수 있을 거 같아요.
    앞으로도 문화예술의 따뜻한 사람이야기 가득한 영상 볼 수 있는 곳으로 기대가 되네요

  • author avatar
    이윤수 2020년 08월 10일 at 4:03 PM

    영상들 인상깊게 잘 보았습니다.
    김성원 연구소장님이 말씀하셨듯 공간의 필요성 절감합니다. 마을마다 제작공방이 있으셨으면 좋겠다 말씀 하셨는데
    최근 공방에 관심있는 사람으로서 깊이 공감해요.
    저도 퇴근후에, 주말에, 가벼운 마음으로 인근의 공방에 가서 이런저런 작업을 해보고 싶어요.
    공간이 없다보니 무언가 하려고 할 때마다, 각잡고 가야하는데….. 그러다 보니 쉽지 않지요.
    공간이 있는데 안 알려진 경우도 있고요.
    아르떼에서 이런 지역문화예술교육 확산을 위해 힘써주시는 걸 알고 있어요.
    앞으로도 좋은 소식과 영상들을 공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author avatar
    이혜성 2020년 08월 10일 at 3:48 PM

    남궁 역 세월초등학교 교사
    교사로부터, 번지고 물드는 예술적 경험이라는 영상을 감상했습니다
    공교육에서 앞서서 예술을 알리시는 선생님의 깊은 의지를 보니 앞으로 우리 아이들과 미래가 밝다고 생각했어요 ㅎㅎㅎ 저도 특출나게 잘하는 예술은 없지만 조그마한 재능이라도 나누고 알리는게 제 목표입니다. 세상에서 해방되는 데에 예술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또한 세상과 확실한 관계를 갖는 데에도 예술을 통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아르떼365 영상들 항상 응원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이아현 2020년 08월 10일 at 3:37 PM

    김수연 문화예술스튜디오 노래숲 기획팀장님의

    삶은 힙합이고 뽕짝이고 감동이다라는 영상 잘 감상했어요 !!

    노래와 예술 살면서 노래를 예술이라고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이 번 영상을 계기로 살아가면서 모든 일들이 어쩌면 예술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신 아르떼365 🙆 더욱더

    많이 소통해주시고 앞으로도 좋은 영상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uthor avatar
    오정숙 2020년 08월 10일 at 3:31 PM

    저는 가장 최근에 올라온 김성원 소장님의 영상을 보며 예술이라는게 우리 생활에서 가까이에 있었는데 멀리있지 않다는 걸 느꼈습니다.
    아르떼365가 많은 사랑과 따뜻한 공간이 되기를 응원 하겠습니다 😍 항상 긍정적인 마인드로 예술에 대해서 생각하고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할게요 공감가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author avatar
    염명석 2020년 08월 10일 at 2:19 PM

    예측불가능한 미래를 질문하는 예술의 힘.
    정말 예술이 한치 앞의 미래를 내다보는 힘이 있다는 것을 영상을 보고 깨달았네요.
    예술을 통해 우리의 삶이 녹아내리고, 어떻게 미래를 그려가야할지 저도 함께 그려봐야겠습니다.
    다양한 문화 영상들! 언제나 잘 보고 있어요 ㅎ

  • author avatar
    최현선 2020년 08월 10일 at 1:11 PM

    아르떼365의 미술교육현장과 사람에 관한 기사와 동영상 늘 잘 보고 있습니다. 알찬 정보덕분에 배우는 것도 많고, 아이들에게도 알려주는 내용도 많아서 늘 좋아요!
    동영상으로 보니 더 공감이 많아가서 즐겨보게 됩니다!

  • author avatar
    이용수 2020년 08월 10일 at 12:59 PM

    채성태 문화공간 싹 대표│비우고 버리며 채워지는 ‘무정형’ 문화예술교육 영상을 보았습니다.
    우리 아이들의 교육이 제대로된 교육이되려면 함께해야한다는 걸 느끼고 갑니다.
    아르떼 미소와 웃음이 피어나는 정보와 알찬 소식 많이 듬뿍듬뿍 나눔가득 가득 주시고 유익한 소식 많이 전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author avatar
      이용수 2020년 08월 10일 at 3:25 PM

      위에 댓글 잘못 남겼습니다.

      아르떼365 영상들 먼저 잘 봤습니다. 평소에 가지고 있던 예술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영상들이 정말 유익했습니다!! 모든 인간의 작품, 문학 예술 미술 또는 건축이나 그 밖의 어떤 것이든 간에 그것은 하나같이 자기 자신의 초상화다. 따라서 자신을 숨기려 하면 할수록 의지와는 상관없이 그 성격이 드러나게 된다라는 말이 생각났어요 요즘 코로나19로 모두들 힘들지만 이럴수록 함께 힘 모아서 빨리 극복하고 평범하지만 행복한 일상으로 돌아가요 좋은 영상 올려주신 예술가 분들 아르떼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이대성 2020년 08월 10일 at 12:58 PM

    채성태 문화공간 싹 대표│비우고 버리며 채워지는 ‘무정형’ 문화예술교육 영상을 보았습니다.
    우리 아이들의 교육이 제대로된 교육이되려면 함께해야한다는 걸 느끼고 갑니다.
    아르떼 미소와 웃음이 피어나는 정보와 알찬 소식 많이 듬뿍듬뿍 나눔가득 가득 주시고 유익한 소식 많이 전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author avatar
    장우석 2020년 08월 10일 at 12:37 PM

    김성원 Play AT-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장 분께서 설명해주신 [지구 서식자로서, 서로 의존하며 질문하기] 영상을 시청하였습니다. 최근에 폭우로 인하여 댐, 사대강 근처에 사는 분들의 거주지가 파괴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이런 경우도 결국 시민들에게 피해가 가는 것이기에 새로운 기술로 물을 보관하거나 방치하여 시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을 수 있도록 변화하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96 Comments
  • author avatar
    조주형 2020년 08월 10일 at 5:19 PM

    서귀포귀농귀촌협동조합의 마을기업 제주살래 영상을 보면서 제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떻게
    함께 서로 도우면서 살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마을기업을 만들어낸 이야기를 보면서 귀농과 귀촌을
    준비하는 분들이 제주에 가서 살고 싶은 마음이 들게 만들 수 있을 거 같아요.
    앞으로도 문화예술의 따뜻한 사람이야기 가득한 영상 볼 수 있는 곳으로 기대가 되네요

  • author avatar
    이윤수 2020년 08월 10일 at 4:03 PM

    영상들 인상깊게 잘 보았습니다.
    김성원 연구소장님이 말씀하셨듯 공간의 필요성 절감합니다. 마을마다 제작공방이 있으셨으면 좋겠다 말씀 하셨는데
    최근 공방에 관심있는 사람으로서 깊이 공감해요.
    저도 퇴근후에, 주말에, 가벼운 마음으로 인근의 공방에 가서 이런저런 작업을 해보고 싶어요.
    공간이 없다보니 무언가 하려고 할 때마다, 각잡고 가야하는데….. 그러다 보니 쉽지 않지요.
    공간이 있는데 안 알려진 경우도 있고요.
    아르떼에서 이런 지역문화예술교육 확산을 위해 힘써주시는 걸 알고 있어요.
    앞으로도 좋은 소식과 영상들을 공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author avatar
    이혜성 2020년 08월 10일 at 3:48 PM

    남궁 역 세월초등학교 교사
    교사로부터, 번지고 물드는 예술적 경험이라는 영상을 감상했습니다
    공교육에서 앞서서 예술을 알리시는 선생님의 깊은 의지를 보니 앞으로 우리 아이들과 미래가 밝다고 생각했어요 ㅎㅎㅎ 저도 특출나게 잘하는 예술은 없지만 조그마한 재능이라도 나누고 알리는게 제 목표입니다. 세상에서 해방되는 데에 예술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또한 세상과 확실한 관계를 갖는 데에도 예술을 통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아르떼365 영상들 항상 응원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이아현 2020년 08월 10일 at 3:37 PM

    김수연 문화예술스튜디오 노래숲 기획팀장님의

    삶은 힙합이고 뽕짝이고 감동이다라는 영상 잘 감상했어요 !!

    노래와 예술 살면서 노래를 예술이라고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이 번 영상을 계기로 살아가면서 모든 일들이 어쩌면 예술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신 아르떼365 🙆 더욱더

    많이 소통해주시고 앞으로도 좋은 영상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uthor avatar
    오정숙 2020년 08월 10일 at 3:31 PM

    저는 가장 최근에 올라온 김성원 소장님의 영상을 보며 예술이라는게 우리 생활에서 가까이에 있었는데 멀리있지 않다는 걸 느꼈습니다.
    아르떼365가 많은 사랑과 따뜻한 공간이 되기를 응원 하겠습니다 😍 항상 긍정적인 마인드로 예술에 대해서 생각하고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할게요 공감가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author avatar
    염명석 2020년 08월 10일 at 2:19 PM

    예측불가능한 미래를 질문하는 예술의 힘.
    정말 예술이 한치 앞의 미래를 내다보는 힘이 있다는 것을 영상을 보고 깨달았네요.
    예술을 통해 우리의 삶이 녹아내리고, 어떻게 미래를 그려가야할지 저도 함께 그려봐야겠습니다.
    다양한 문화 영상들! 언제나 잘 보고 있어요 ㅎ

  • author avatar
    최현선 2020년 08월 10일 at 1:11 PM

    아르떼365의 미술교육현장과 사람에 관한 기사와 동영상 늘 잘 보고 있습니다. 알찬 정보덕분에 배우는 것도 많고, 아이들에게도 알려주는 내용도 많아서 늘 좋아요!
    동영상으로 보니 더 공감이 많아가서 즐겨보게 됩니다!

  • author avatar
    이용수 2020년 08월 10일 at 12:59 PM

    채성태 문화공간 싹 대표│비우고 버리며 채워지는 ‘무정형’ 문화예술교육 영상을 보았습니다.
    우리 아이들의 교육이 제대로된 교육이되려면 함께해야한다는 걸 느끼고 갑니다.
    아르떼 미소와 웃음이 피어나는 정보와 알찬 소식 많이 듬뿍듬뿍 나눔가득 가득 주시고 유익한 소식 많이 전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author avatar
      이용수 2020년 08월 10일 at 3:25 PM

      위에 댓글 잘못 남겼습니다.

      아르떼365 영상들 먼저 잘 봤습니다. 평소에 가지고 있던 예술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영상들이 정말 유익했습니다!! 모든 인간의 작품, 문학 예술 미술 또는 건축이나 그 밖의 어떤 것이든 간에 그것은 하나같이 자기 자신의 초상화다. 따라서 자신을 숨기려 하면 할수록 의지와는 상관없이 그 성격이 드러나게 된다라는 말이 생각났어요 요즘 코로나19로 모두들 힘들지만 이럴수록 함께 힘 모아서 빨리 극복하고 평범하지만 행복한 일상으로 돌아가요 좋은 영상 올려주신 예술가 분들 아르떼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이대성 2020년 08월 10일 at 12:58 PM

    채성태 문화공간 싹 대표│비우고 버리며 채워지는 ‘무정형’ 문화예술교육 영상을 보았습니다.
    우리 아이들의 교육이 제대로된 교육이되려면 함께해야한다는 걸 느끼고 갑니다.
    아르떼 미소와 웃음이 피어나는 정보와 알찬 소식 많이 듬뿍듬뿍 나눔가득 가득 주시고 유익한 소식 많이 전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author avatar
    장우석 2020년 08월 10일 at 12:37 PM

    김성원 Play AT-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장 분께서 설명해주신 [지구 서식자로서, 서로 의존하며 질문하기] 영상을 시청하였습니다. 최근에 폭우로 인하여 댐, 사대강 근처에 사는 분들의 거주지가 파괴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이런 경우도 결국 시민들에게 피해가 가는 것이기에 새로운 기술로 물을 보관하거나 방치하여 시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을 수 있도록 변화하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