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e [365] 이벤트

독자 참여 이벤트
【꼭 확인해주세요!】
– 이벤트 참여 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벤트 응모자에서 제외됩니다.
– 당첨자 발표는 공지사항과 개별 메일을 확인해주세요.
–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참여하신 경우 당첨자 선정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당첨 후에도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상품 발송은 모바일로 진행되며 당첨자의 사정으로 인한 발송 오류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지나친 비방이나 욕설, 광고, 도배 댓글은 관리자의 권한으로 삭제 될 수 있습니다.
96 Comments
  • author avatar
    이상진 2020년 07월 30일 at 1:35 AM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드림아트랩4.0 토탈미술관 ‘벙커 465-16’ 를 영상으로 보았습니다. 기술에 대한 생각을 다시하게 해주는 영상이더군요.
    기술이 사용만의 목적으로 보지않고 왜 필요한지 대한 고민도 함께 해보았습니다.
    또한 VR, AI, 5G 좋은 점 뿐 아니라 나쁜점도 다시 생각하게 되고 3D프린터가 실생활에 더욱 사용되어진다면 무엇이 달라질지 저도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된 것 같아요.
    기술과 예술이 하나되는 꿈을 꾸어 봅니다.

  • author avatar
    홍영표 2020년 07월 30일 at 1:35 AM

    문화 예술이란게 기존의 틀에박힌 교육에서는 그 창의성을 발전시키고 개발하기가 참 어렵겠다는 생각을 많이 해왔었는데 영상을보니 역시 그와 같은 생각을 가진
    분들이 창의적이고 기발한 방식의 교육을위해 정말 많이 노력하고 계신다는걸 알수 있었네요 한류문화가 세계로 뻗어가는 지금이 미래의 지속적인 확장을위해
    문화예술교육레 더욱 힘을솓고 노력해야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많은분드의 열정이 오래전 김구선생님이 꿈구던 한없이 높은 문화의 힘을 가진 대한민국을
    만들어 줄꺼란 확신이 드네요 ^^

  • author avatar
    임미영 2020년 07월 29일 at 2:57 PM

    [서귀포귀농귀촌협동조합 마을기업 제주살래] 영상을 가장 먼저 시청했습니다만 제주살래의 의미를 한껏 느낄 수 있는 따뜻한 정감있는 콘텐츠였습니다.
    이주민들끼리 모여 남원북클럽을 통해서 독서 후 감상과 더불어 다른 분들의 생각과 느낌을 경청할 수 있으며 특히, 개인적으로 해녀분들이 직접 그려주신 그림 저 역시나
    굉장히 감명깊게 감상했답니다.
    해녀분들이 표현하는 모든 언어가 시라는 말이 감동적이였으며 푸른 파란 바다를 그린 그림이나 빚은 조각은 설명처럼 세련미는 조금 떨어질지 모르지만
    문화적 가치는 참으로 깊고 대단할 것 같습니다. 한평생 바다와 함께 하시면서 느꼈을 기쁨, 슬픔 그리고 행복과 좌절까지 그분들의 손끝에서 펼쳐지는 모든 활동들이
    많은 분들에게 다가가서 깊고 큰 울림이 있어서 그림 그리는 해녀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이 생기길 희망합니다.
    지역 연계로 우리마을 팟캐스트를 통해서 좀 더 열린 소통을 주고 받고 아이들의 멋진 방송 활동 모습까지 함께 볼 수 있어서 한번 더 참 좋았답니다!

  • author avatar
    이광훈 2020년 07월 29일 at 1:44 PM

    예술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분들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확인했습니다.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을 이끄는 선두주자들의 진솔하고 심도있는 이야기들을 통해서 우리의 문화예술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이나 현재의 문제점들과 이를 어떻게 극복하고 해결해야 될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영상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학교 현장에서 근무 중인 교사인데
    영상 속에는 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하는 많은 교사 및 강사분들도 계셨고 이런 분들의 노력으로 대한민국의 문화예술교육이 희망이 있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는 것이
    아닐까요?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은 문화예술관련 자기만의 생각이나 아이디어 등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졌고 이러한 분야를 개척하고자 희망하는 아이들도
    점점 줄어드는 요즘… 우리 사회도 변화될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단순히 학업에만 치우친 교육이 아닌 주변을 돌아보고 함께 소통하며 나아가는 그러한 교육을 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모습이 되길 희망합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앞으로도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콘텐츠 많이 공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김나은 2020년 07월 29일 at 1:29 PM

    코로나19가빨리 종식되어 다시원래의삶을 되찾았으면 좋겠습니다

  • author avatar
    장우영 2020년 07월 29일 at 12:11 PM

    나무닭움직임연구소 ‘참매미 울음같은 퍼레이드’ 이 영상을 보고나니 코로나19가 빨리 종식되어 다시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이런 활동들이 활발해지기를 기원하게 되었네요.
    그외 다른 문화활동들이 활성화되어 아이들도 어른들도 다양한 문화생활을 통해 힘든 시기를 헤쳐나갈 힘을 얻었으면 합니다.

  • author avatar
    김선주 2020년 07월 29일 at 11:52 AM

    1. 박설 강사 수업 끝 음악 시작
    2. 토요문화학교 청소년X예술가 프로그램
    3. 사람) 세월초등학교 남궁 역 교사│교사로부터, 번지고 물드는 예술적 경험
    4. 토요문화학교 레시던시 연계 프로그램
    5. 오케스트라 성북 문진탁 음악감독

    을 보았습니다. 일단 전체적으로 , ‘공감’을 강조한 프로그램들이지 않나 싶습니다. 다만, 예술의 체계적 구체적 교육으로 어떻게 지속되는가 , 와 청소년들 교육에 대한 아쉬움이 있습니다. 좋은 시도 많이 보이지만, 지속 발전 가능성과 구체성에 대한 궁금증이 듭니다. – 자칫 놀이로만 끝날 수 있기에. 그리고 미사여구를 통해 예술이라는, 예술교육이라는 단어를 입히는 것은 아닌가, 경계해야 되지 않을까 합니다. 또 , 음악교육부분에 대한 궁금증이 많이 생기네요. 음악교육부분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면 합니다. 특별히 2번 3번의 영상 , 인상깊게 살펴보았습니다.

  • author avatar
    신양희 2020년 07월 29일 at 11:07 AM

    여러 활동들을 통해 창조적인 사고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여러 좋은 활동들 공유해주셔서 많이 알게되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김상준 2020년 07월 29일 at 11:06 AM

    창의적인 활동들 기가 막힌 아이디어를 보면 놀랍기 그지없네요. 항상 열심히 창조활동을 해주시는 여러분 덕분인것도 깨닫게되고 아르떼365 이런 내용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김기영 2020년 07월 29일 at 11:04 AM

    여러 사람들의 창조적인 교육을 위한 노력들 잘 보았습니다. 앞으로도 아르떼365 이런 소식 자주 전해주시면 열심히 보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Leave a Reply to 이형식 Cancel reply

96 Comments
  • author avatar
    이상진 2020년 07월 30일 at 1:35 AM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드림아트랩4.0 토탈미술관 ‘벙커 465-16’ 를 영상으로 보았습니다. 기술에 대한 생각을 다시하게 해주는 영상이더군요.
    기술이 사용만의 목적으로 보지않고 왜 필요한지 대한 고민도 함께 해보았습니다.
    또한 VR, AI, 5G 좋은 점 뿐 아니라 나쁜점도 다시 생각하게 되고 3D프린터가 실생활에 더욱 사용되어진다면 무엇이 달라질지 저도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된 것 같아요.
    기술과 예술이 하나되는 꿈을 꾸어 봅니다.

  • author avatar
    홍영표 2020년 07월 30일 at 1:35 AM

    문화 예술이란게 기존의 틀에박힌 교육에서는 그 창의성을 발전시키고 개발하기가 참 어렵겠다는 생각을 많이 해왔었는데 영상을보니 역시 그와 같은 생각을 가진
    분들이 창의적이고 기발한 방식의 교육을위해 정말 많이 노력하고 계신다는걸 알수 있었네요 한류문화가 세계로 뻗어가는 지금이 미래의 지속적인 확장을위해
    문화예술교육레 더욱 힘을솓고 노력해야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많은분드의 열정이 오래전 김구선생님이 꿈구던 한없이 높은 문화의 힘을 가진 대한민국을
    만들어 줄꺼란 확신이 드네요 ^^

  • author avatar
    임미영 2020년 07월 29일 at 2:57 PM

    [서귀포귀농귀촌협동조합 마을기업 제주살래] 영상을 가장 먼저 시청했습니다만 제주살래의 의미를 한껏 느낄 수 있는 따뜻한 정감있는 콘텐츠였습니다.
    이주민들끼리 모여 남원북클럽을 통해서 독서 후 감상과 더불어 다른 분들의 생각과 느낌을 경청할 수 있으며 특히, 개인적으로 해녀분들이 직접 그려주신 그림 저 역시나
    굉장히 감명깊게 감상했답니다.
    해녀분들이 표현하는 모든 언어가 시라는 말이 감동적이였으며 푸른 파란 바다를 그린 그림이나 빚은 조각은 설명처럼 세련미는 조금 떨어질지 모르지만
    문화적 가치는 참으로 깊고 대단할 것 같습니다. 한평생 바다와 함께 하시면서 느꼈을 기쁨, 슬픔 그리고 행복과 좌절까지 그분들의 손끝에서 펼쳐지는 모든 활동들이
    많은 분들에게 다가가서 깊고 큰 울림이 있어서 그림 그리는 해녀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이 생기길 희망합니다.
    지역 연계로 우리마을 팟캐스트를 통해서 좀 더 열린 소통을 주고 받고 아이들의 멋진 방송 활동 모습까지 함께 볼 수 있어서 한번 더 참 좋았답니다!

  • author avatar
    이광훈 2020년 07월 29일 at 1:44 PM

    예술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분들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확인했습니다.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을 이끄는 선두주자들의 진솔하고 심도있는 이야기들을 통해서 우리의 문화예술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이나 현재의 문제점들과 이를 어떻게 극복하고 해결해야 될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영상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학교 현장에서 근무 중인 교사인데
    영상 속에는 학교에서 학생들과 함께 하는 많은 교사 및 강사분들도 계셨고 이런 분들의 노력으로 대한민국의 문화예술교육이 희망이 있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는 것이
    아닐까요?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은 문화예술관련 자기만의 생각이나 아이디어 등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졌고 이러한 분야를 개척하고자 희망하는 아이들도
    점점 줄어드는 요즘… 우리 사회도 변화될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단순히 학업에만 치우친 교육이 아닌 주변을 돌아보고 함께 소통하며 나아가는 그러한 교육을 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모습이 되길 희망합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앞으로도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콘텐츠 많이 공유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김나은 2020년 07월 29일 at 1:29 PM

    코로나19가빨리 종식되어 다시원래의삶을 되찾았으면 좋겠습니다

  • author avatar
    장우영 2020년 07월 29일 at 12:11 PM

    나무닭움직임연구소 ‘참매미 울음같은 퍼레이드’ 이 영상을 보고나니 코로나19가 빨리 종식되어 다시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이런 활동들이 활발해지기를 기원하게 되었네요.
    그외 다른 문화활동들이 활성화되어 아이들도 어른들도 다양한 문화생활을 통해 힘든 시기를 헤쳐나갈 힘을 얻었으면 합니다.

  • author avatar
    김선주 2020년 07월 29일 at 11:52 AM

    1. 박설 강사 수업 끝 음악 시작
    2. 토요문화학교 청소년X예술가 프로그램
    3. 사람) 세월초등학교 남궁 역 교사│교사로부터, 번지고 물드는 예술적 경험
    4. 토요문화학교 레시던시 연계 프로그램
    5. 오케스트라 성북 문진탁 음악감독

    을 보았습니다. 일단 전체적으로 , ‘공감’을 강조한 프로그램들이지 않나 싶습니다. 다만, 예술의 체계적 구체적 교육으로 어떻게 지속되는가 , 와 청소년들 교육에 대한 아쉬움이 있습니다. 좋은 시도 많이 보이지만, 지속 발전 가능성과 구체성에 대한 궁금증이 듭니다. – 자칫 놀이로만 끝날 수 있기에. 그리고 미사여구를 통해 예술이라는, 예술교육이라는 단어를 입히는 것은 아닌가, 경계해야 되지 않을까 합니다. 또 , 음악교육부분에 대한 궁금증이 많이 생기네요. 음악교육부분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면 합니다. 특별히 2번 3번의 영상 , 인상깊게 살펴보았습니다.

  • author avatar
    신양희 2020년 07월 29일 at 11:07 AM

    여러 활동들을 통해 창조적인 사고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여러 좋은 활동들 공유해주셔서 많이 알게되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김상준 2020년 07월 29일 at 11:06 AM

    창의적인 활동들 기가 막힌 아이디어를 보면 놀랍기 그지없네요. 항상 열심히 창조활동을 해주시는 여러분 덕분인것도 깨닫게되고 아르떼365 이런 내용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김기영 2020년 07월 29일 at 11:04 AM

    여러 사람들의 창조적인 교육을 위한 노력들 잘 보았습니다. 앞으로도 아르떼365 이런 소식 자주 전해주시면 열심히 보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Leave a Reply to 이형식 Cancel reply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