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장 한 켠에 서서 책을 읽고 있는 직장인 여성, 지하철 좌석에 모여 앉아 함께 책을 읽고 있는 엄마와 아이들. 요즘 우리는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 사람들을 몇 명이나 찾아볼 수 있을까요? 미국 뉴욕의 지하철에도 어쩌면 책보다는 스마트폰을 보고 있거나 음악을 듣는 사람이 더 많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뉴욕 지하철에는 특별한 도서관이 있다고 하는데요. 과연 무엇일까요?
수많은 발걸음이 오고 가는 승강장과
처컹처컹 소리를 내며 달려가는 지하철 객차 안에는
음악을 듣는 사람들,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는 사람들
그리고 책을 읽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미국 뉴욕의 지하철 풍경도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그런데 뉴욕시 지하철에는 조금은 특별한 뉴욕 지하철 공립 도서관(Underground New York Public Library)이 있습니다.
뉴욕에 거주하고 있는 아티스트이자 스토리텔러 Ourit Ben-Haïm은 2008년부터 ‘Underground New York Public Library’라는 프로젝트를 자신의 페이스북 앨범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로 옮기자면 ‘뉴욕 지하철 공립 도서관’쯤 되는데요.
뉴욕시를 누비는 지하철에서 책을 읽고 있는 사람들을 사진으로 담고, 그들이 읽고 있는 책 정보와 함께 홈페이지에 올려둡니다. 책 제목 옆에 작가명을 클릭하면 같은 작가의 책을 읽고 있는 다른 사람들의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책 제목 아래에 ‘BORROW’를 누르면 해당 책이 있는 가장 가까운 도서관을 알려주고, ‘READ’를 누르면 해당 책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서점 웹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Reading isn’t an anomaly and it probably never will be. This project isn’t trying to document something rare. It’s an attempt to reveal us as we are.”
“독서는 이례적인 일이 아니며, 이후에도 절대 그렇게 되지는 않을 겁니다. 이 프로젝트는 특별한 기록물을 만들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이것은 있는 그대로의 우리를 드러내는 시도입니다.” – Underground New York Public Library 질문과 답변 중 발췌
참고자료 및 출처
ㅡ Underground New York Public Library
ㅡ Ourit Ben-Haïm 페이스북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코너별 기사보기
비밀번호 확인
대게 지하철에서의 시간은 무념무상으로 보내버리는데, 책읽는 모습이 보기좋네요.
학창시절에는 학급공용 책에 낙서도해보고, 재밌는건 친구들과 순서정하며 돌려보기도 했는데..
음.. 요즘도 그러려나..
요즘은 태블릿pc, 스마트폰때문에 책을 들고다니는 사람들이 드물긴 해요.
한 때는 책선물이 유행이기도 했는데..ㅎㅎ^^ 세월의 흐름이란~.. 은근히 그립네요.
앉아서 무념무상으로 보내버릴 수도 있는시간인데, 책을 읽는 모습이 참 보기좋네요 @_@
요새는 태블릿pc, 스마트폰을 들고있지 책을들고있는 사람은 드무니…
학창시절 학급공용 책에 여러가지 재미난 낙서도 해보고, 좋은책은 친구들과 돌려 봤던 기억이 있네요.
한때는 책 선물이 유행이었는데.. ㅎㅎ^^ 은근 그립기도 하네요.
와, 아이디어 좋네요. 개인 블로그에 비슷한 프로젝트 해볼까요? ㅎㅎ
생활속에서의 독서문화를 뿌리내리기 위한 노력과 동참, 모두 멋집니다. 스맡폰과 수면도 필요하겠지만 우리나라 지하철에서의 흔한 광경도 이렇다면 더 좋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공유할께요.^^
우리나라도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버스정류장이나 기차역사에 미니도서관이 늘어나는 추세 입니다. 이렇게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해 세상 사람들이 다 알수 있도록 공유를 한다면 뉴욕처럼 책읽는 문화가 더욱 활성화 되지않을까 생각 합니다*^^
우와
정말 신기한데요? ㅎㅎ 선진국이기에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만약 우리나라에서 내가 책읽고있는모습을 타인이 찍어서 소셜네트워크에 게시한다면.. 언짢아 할수도있겠죠? ㅎㅎ 어쨋든 참신한 아이디어이고. 어떤 연령대가 어떠한 장르를 선호하고 어떤 도서가 인기있는지 어떻게 책을 구매할수있는지. 페이스북을 통해서 접근성을 쉽게했다는점에서 큰장점이 단점을 커버하는거같습니다~ 좋은 뉴스 즉 정보 감사합니다^_^
아마 사진 한장을 담기 위해서 우리가 모르는 많을 작업들이 이루어지지 않았을까하는 짐작도 조심스럽게 해보게 되요. 재미있는 프로젝트죠?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것이 있어도 참 재미있을 거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