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매개하고 협업하는 전문 인력으로 전문가 좌담 _ 문화예술교육사와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양성 문화를 ‘소비’하는 시대에서 ‘향유’하는 시대로 변화하면서 문화예술교육 영역이 확대되고 그에 따른 전문인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11년 12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개정에 따라 2012년 시행령 개정 및 시행규칙 제정이 이루어지고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지난 4년간 1만여 명 이상의 문화예술교육사가 양성되었다. 정리 _ 상상놀이터 2016.12.19.
이슈 예술, 예술가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연결하기 전문가 좌담 _ 국공립예술기관과 문화예술교육 국공립예술기관에 있어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은 무엇이며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왔을까?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교육진흥원) 설립 이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국공립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자체적인 콘텐츠와 인프라를 활용하여 감상이나 실기교육을 넘어서 일반 시민의 주체적인 참여와 예술향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진화하고 있다. 정리 _ 상상놀이터 2016.10.17.
리뷰 예술 확장으로서의 교육을 논하다 2016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예술가와 예술교육’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지난 5월 24일(화) 누리꿈스퀘어 3층 국제회의실에서 2016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이 개최되었다. 이 포럼은 한국, 중국, 일본의 문화예술교육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예술의 가치와 힘에 대한 국가별 관점을 살펴보고, 최근의 이슈와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이다. 2013년 서울을 시작으로 일본, 중국에서 매년 순회 개최되어온 포럼은 올해 다시 서울로 돌아와 ‘예술가와 예술교육’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선옥 _ 자유기고가 2016.06.07.
인터뷰 인적 역량 강화와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관건 좌담 -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변화와 전망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6년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5.21~27)을 맞이하여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진단과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두 차례 마련한다. 그 두 번째 좌담으로는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현장과 기관에 있는 다섯 명의 전문가들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고 양질의 수준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정리 _ 상상놀이터 2016.05.02.
리포트 전문성의 출발점을 넘어 필요충분조건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지인의 회사에 인턴이 들어왔다. 그 인턴에게 장래희망을 물었더니 “문화예술교육사”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담당하는 실무자의 한사람으로서 매우 반갑고 놀라운 대답이었지만 정작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모르더라는 얘기에 안타깝기도 하였다. 이렇게 문화예술교육사를 취득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도 생소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자세히 소개한다. 안유민 _ 교육운영2팀 2016.04.04.
리뷰 모두 함께 꽃피우는 문화예술교육 축제 달라지는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봄이 왔다. ‘봄 캐롤’이 들려오기 시작했다. 처음 그 노래를 듣고 두근대던 4년 전부터 어김없이, 우리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준비하며 봄을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같은 음악도 듣는 이의 시간과 경험이 더해져 저마다의 감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것처럼, 어느덧 다섯 번째를 맞이하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바라보는 시선과 기대도 모두 다를 것이다. 이경미 _ 기획사업단 대리 2016.03.28.
국내소식 [경기] 2014년 ‘막계 페스티벌’ 참여형 프로그램 기획 공모 국립현대미술관(과천관)이 개최하는 2014년 ‘막계 페스티벌(9월 20일~21일)’에서 예술가, 기획자, 예술교육자 등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참여형 프로그램 기획을 공모한다. 등록일: 2014.08.05. · 댓글 : 0 · 조회수 2,060 2014.08.05.
이슈 문화예술로 ‘시시콜콜(時市callcall)’한 일상의 문제를 가능성으로 바꾸다 2014년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시시콜콜(時市callcall)’이 시작되었다. 새롭게 바뀐 이름과 함께 공모지원 방식도 확 달라졌다. 전문 문화예술교육 단체가 아니더라도 시민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지향점에 공감하는 모든 이들에게 열린 공모로 문턱을 낮추었다. 2014.06.30.
국내소식 [아르떼] 2015 아르떼 아카데미 추가 개설 연수 참여 안내 아르떼 아카데미(AA)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중심에 있는 예술강사, 지역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기획자), 학교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교원 등을 대상으로 2015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의 추가 연수 참여자를 모집한다. 등록일: 2015.01.12. · 댓글 : 0 · 조회수 2,883 2015.01.12.
국내소식 「문화예술교육사 지원법 시행령」 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취득 시 희망자의 부담이 되던 이수 과목 수와 비용이 크게 줄어든다. 본디 ‘학력•경력 요건’과 ‘교육과정 이수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했으나 12월 16일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시행령」 개정령안이 통과되면서 원격대학(방송통신대•사이버대)과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자까지 전공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등록일: 2014.12.22. · 댓글 : 0 · 조회수 2,759 2014.12.22.
해외소식 [영국] 웨일스 문학‧예술축제 ‘해이 페스티벌’ 문학‧예술 해이 페스티벌(Hay Festival of Literature & the Arts Ltd)이 5월 22일부터 6월 1일까지 웨일스 해이 페스티벌(Hay Festival Wales)을 개최했다. 등록일: 2014.06.20. · 댓글 : 0 · 조회수 2,334 2014.06.20.
국내소식 [전남] ‘2014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네트워크 포럼’ 개최 전남문화예술재단이 지난 6월 17일 전남도립도서관 세미나실에서 ‘2014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하였다. 등록일: 2014.06.19. · 댓글 : 0 · 조회수 1,616 2014.06.19.
이슈 왜 학교는 예술이 필요한가 베네수엘라의 빈민층 아이들을 위한 ‘엘 시스테마’ 예술교육이 사회적 변화를 이루어 낸 사례처럼 예술교육이 우리 교육제도의 혁신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로서 작용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기획된 이번 세미나에는 울산광역시 관계자, 울산광역시교육청 담당자, 교사, 예술강사, 학부모 등 다양한 사람들의 관심이 모아졌다. 2014.06.17.
국내소식 [아르떼] 2015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참여자 모집 아르떼 아카데미(AA)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중심에 있는 예술강사, 지역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기획자), 학교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교원 등을 대상으로 2015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를 개최한다. 등록일: 2014.12.15. · 댓글 : 0 · 조회수 3,537 2014.12.15.
리뷰 나를 찾고 너를 발견하며 우리가 되다 10월 5일, 화창한 일요일 오후. 서울세계무용축제의 ‘꿈! 틀! DREAM A MOTION’이 열리는 서울 강동아트센터 소극장은 중•고등학생들로 무척이나 분주했다. 이들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상학교’의 커뮤니티 댄스 수업 에 참여하는 ‘단원’들이었다. 2014.10.13.
리포트 학교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문화예술교육은 2005년부터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소통과 공감, 함께 나누는 행복’이라는 비전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국민행복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정책들이 꾸준히 확대 시행되고 있다. 김서연_정책연구팀 201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