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문학, 이야기 놀이가 되다 2017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이야기야, 놀자!> 문학, 이야기가 놀이가 되는 것. 동화작가 정수민 모둠원의 이야기처럼 ‘2017 아르떼 학습 동아리’에 모인 우리의 마음은 한 갈래였다. <이야기야, 놀자!>는 문학수업도 누구나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감동적인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시작됐다. 연진영 문학강사 2017.04.10.
리뷰 자바섬 작은 마을의 바틱 이야기 평창문화올림픽 ODA 아트 드림캠프 ‘바틱 스토리’ ‘바틱 스토리(Batik Story)’의 시작은 7년 전, 보르네오 섬에 있는 코타키나발루에서 마리나와의 만남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마리나는 사바애니메이션센터(Sabah Animation Creative Content Center, 이하 SAC3) 디렉터로 뭔가 새로운 것을 해보고 싶어 하는 친구였다. 우리는 금방 의기투합을 하여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을 만들어보자고 했다. 신보슬 _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2017.01.16.
아이디어 현실 vs 환상, 마법이 아니야 색다른 공간을 만드는 프로젝션 맵핑 공간에 영상을 입히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은 물체에 빛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투사하여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이 마치 다른 물건이나 공간처럼 보이도록 하는 뉴미디어 기술입니다. 김다빈 _ 상상놀이터 2017.01.16.
리포트 인생을 나누는 예술 미국 노인 문화예술교육 사례 지난 5월 미국 비영리기관인 국립창의노년센터(NCCA, National Center for Creative Aging)의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국립창의노년센터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고령 인구와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노년과 예술이라는 두 키워드를 중심으로 매년 활발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65세 이상 노년층이 현재 세계 인구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고(2015.9월 기준), 2030년 대한민국은 4명 중 1명이 노인인 초고령 사회가 될 것이라고 예측된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두고 혹자는 ‘노인 붐(elder boom)’의 시대라고 말하기도 한다. 김문경 _ 정책연구팀 2015.10.19.
아이디어 상상과 가치를 스케치하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놀이법 머릿속 생각을 시각적으로 쉽게 보여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는 마인드맵(mind map) 기법은 빠른 시간 안에 정보의 연관관계를 정리하고 발생과정을 보여주며 단어들의 의미를 연관시켜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합니다. 함께 그리는 마인드맵은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교집합을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문화예술 영역에서는 어떻게 마인드맵을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이야기를 연결하고 함께 만들어나가는 마인드맵 놀이와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김다빈 _ 상상놀이터 2015.06.29.
해외소식 [호주]학교 안 예술가(Artists in Schools) 프로그램 1972년 설립된 호주 빅토리아 주 정부기관인 ‘아츠빅토리아(Arts Victoria)’가 현장의 전문 예술가를 빅토리아 주 소재 초•중학교로 약 20일간 파견하여 교사•학생의 창의적 예술작품 활동을 지원하는 ‘학교 안 예술가(Artists in Schools)’사업을 펼친다. 등록일: 2014.09.15. · 댓글 : 0 · 조회수 2,666 2014.09.15.
해외소식 [미국] 주(州) 예술교육 정책 심포지엄 개최 미국 워싱턴DC에서 2015년 3월 21일 <주별 예술교육 정책 심포지엄(State Policy Symposium)>이 개최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크리스미닉(Chris Minnich), 주 교육감협회(CCSSO) 전무이사,드보라기스트(Deborah Gist), 로드아일랜드 교육국장, 크리스토퍼코크(Christopher Koch), 일리노이 주 교육감등을 비롯한 교육, 예술, 문화, 산업 분야 전문가가 한 자리에 모여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을 예정이다. 등록일: 2015.01.26. · 댓글 : 0 · 조회수 1,575 2015.01.26.
국내소식 [아르떼] 2014 아르떼 인포그래픽스 모션그래픽 영상 제작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정보를 소개하는 ‘모션그래픽 영상’이 제작되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책연구팀은 2014년 한 해 동안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사업 및 지식들을 다룬 총 6개의 인포그래픽을 제작했다. 등록일: 2015.01.12. · 댓글 : 0 · 조회수 2,039 2015.01.12.
국내소식 [아르떼] 2015 아르떼 아카데미 추가 개설 연수 참여 안내 아르떼 아카데미(AA)에서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중심에 있는 예술강사, 지역 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기획자), 학교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교원 등을 대상으로 2015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의 추가 연수 참여자를 모집한다. 등록일: 2015.01.12. · 댓글 : 0 · 조회수 2,883 2015.01.12.
해외소식 [미국] 뮤직센터 교사연수 프로그램 미국 뮤직센터에서 ‘미국의 이야기-스토리텔링의 예술을 통해 삶에 글을 더하다’라는 주제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등록일: 2014.06.23. · 댓글 : 0 · 조회수 1,882 2014.06.23.
2012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이야기의 기원 인간은 왜 스토리텔링에 탐닉하는가 브라이언 보이드 저 | 남경태 역 휴머니스트 | 2013.01.28 사무실 인근 홍대 뒷골목에는 갖가지의 그래피티(graffiti)와 낙서가 남겨져 있다. 간밤에 어떤 낙서가 늘어났는지 살펴보는 것이 출근길의 즐거움이기도 하다. 다른 날에 같은 글씨로 쓰인 낙서 시리즈는 하나의 스토리텔링을 들려주기도 한다. 누구를 향한 커뮤니케이션일까? 오늘 만난 스토리텔링은 아마도 헤어진 애인에게 하는 이야기인 듯싶다. 언젠가 케이블 채널에서 본 프랑스 쇼베(Chauvet) 동굴의 벽화가 홍대 뒷골목의 그래피티 예술 작품 위로 오버랩 되기도 한다. 3만 2천 년 전의 조상들도 동굴 벽에 2013.06.12.
2012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이야기의 힘, 매혹적인 스토리텔링의 조건 이야기가 가진 특별한 힘,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다 EBS 다큐프라임 「이야기의 힘」 제작팀지음 황금물고기 | 2011.9.30 문학, 교육학 등 인문학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던 스토리텔링이 언제부터인가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이야기로 마케팅 하는 기법’이란 의미로 자주 쓰인다.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아주 오래 전부터 우리는 물건에 얽힌 이야기에 기꺼이 돈을 지불해 왔는데 말이다. 고대 유물들이 천문학적인 가치가 있는 이유는 희소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그 희소성을 떠받치는 서사적인 ‘이야기’가 있어서다. 그 유물을 어디서 누가 어떤 용도로 사용했는지가 유물의 2013.01.30.
아이디어 서로를 처음 마주하는 순간 마음을 여는 첫 수업 그린다는 것이 단순히 평면의 종이 위에서만이 아닌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던 그때의 기억은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도 사라지지 않는 두근거림이자 작은 행복이다. 우리가 지금 만나는 아이들 또한 그러한 경험을 마주한다고 생각한다. 예정원 _ 문화예술활동가 2016.09.30.
아이디어 맛 좀 봐라, 만화! 예술교육 탐구생활 2탄 ‘마음을 여는 첫 수업’ 선정작 학교에서 진행되는 여러 분야의 예술교육 중에 만화애니메이션 수업은 타이틀만으로 80%는 먹고(?) 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이름만 봐도, 그림을 그리고 캐릭터를 만드는 재밌는 시간이 될 것만 같다. 그렇지만 “오늘은 무엇을 해야 하나요?”라고 묻는 아이들에게서 자발적, 적극적 참여를 이끌기는 쉽지 않다. 나는 아이들이 스스로 하는 수업, 직접 쓰고, 그리고, 만들고, 발표하는 수업, 어쩌면 이상적인 수업을 꿈꾸기 시작했다. 변미섭 _ 만화애니메이션분야 예술강사 2016.08.29.
인터뷰 지역의 문제에 예술로 주목하라 스콧 란킨, 세실리 하디 / 호주 빅하트 빅하트(BIGhART)는 호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혁신적 비영리 문화예술 개발 단체로 훌륭한 협업 예술가들과 활동하고 있는 전문프로듀서 그룹이다. 1992년부터 빅하트는 커뮤니티 문화개발 활동을 통해 소외된 지역사회의 불평등에 대한 문제들을 제기하면서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다. 이들의 대표적 프로젝트로는 호주 로번 지역 청소년 노인들과 함께 하는 <이잘라 얄라(Yijala Yala)> 프로젝트, 호주 시드니, 멜버른, 호바트 및 국외 선원들, 그리고 그 가족들과 함께 하는 <블루엔젤(Blue Angel)> 프로젝트 등이 있다. 김소연 _ 연극평론가 2015.11.09.
아이디어 빛이 감춰둔 이야기 즐거운 그림자놀이 잠들기 전 어둠 속에서 문 사이로 비치는 가느다란 빛으로 그림자놀이를 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빛이 지나가는 경로 위에서 손을 포개고 손가락을 움직이다 보면 새, 토끼, 강아지 같은 재미있는 동물 모양 그림자가 만들어지곤 합니다. 빛과 그림자가 있으면 우리는 태양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도 있고 동화 속 주인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즐겁고 신기한 그림자의 세계로 함께 빠져보실래요? 김다빈 _ 상상놀이터 201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