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숨겨진 세계를 만나다 사람들이 현미경을 통해 미생물의 세계를 관측하기 시작한 1600년대 이전까지 미생물의 세계는 무지의 영역이었습니다. 그리고 ‘현미경 사진’이 등장하기 전까지, 관찰한 미생물의 모습을 손으로 그려 시각화할 수밖에 없었는데, 스케일 프리 네트워크(SFN, Scale Free Network)는 바로 이 점에 착안한 프로젝트를 고안해냅니다. 2015.01.12.
국내소식 [아르떼_인천, 전북]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개최 올해 아홉 번째 시즌으로 접어든 이번 우락부락 캠프는, 오는 1월 26일(월)부터 인천과 전북지역에서 2박3일씩 각각 2회씩 진행된다. 문화예술캠프에 관심있는 11세~13세 아동(초등학교 4~6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우락부락 캠프는 1인당 5만원의 참가비로 참여 가능하며,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등록일: 2015.01.05. · 댓글 : 0 · 조회수 2,298 2015.01.05.
리포트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 연례컨퍼런스에 다녀와서 전미 커뮤니티 예술교육단체 국립조합(National Guild for Community Arts Education)이 주관하는 본 컨퍼런스는 연구 결과 공유 및 네트워킹 기회 제공 등을 통해 커뮤니티 예술교육 단체의 생성과 발전을 지원, 궁극적으로는 문화예술의 평생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김민지_사회교육팀 2014.12.15.
이슈 2014 인천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포럼 〈별빛살롱〉 지난 10월의 마지막 주 수요일에는 <교사가 예술가와 만났을 때 – 교사와 예술가의 문화예술교육 협업 사례>를 주제로, 실제 학교에서 예술강사와 수업을 진행한 두 명의 학교 교사와 함께 협업에 대한 솔직 담백한 토론을 진행했다. 2014.11.24.
국내소식 [아르떼_인천, 대전, 광주, 서울, 대구]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관계의 기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고3 수험생을 대상으로 예술가와 함께 자신의 주변을 살펴봄으로써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관계의 기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등록일: 2014.11.21. · 댓글 : 0 · 조회수 4,718 2014.11.21.
리뷰 나는 내 삶을 만들어가는 예술가입니다 짙은 가을이 드리운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제83회 창의?인성교육 현장포럼 개최되었다. 11월의 첫 날, ‘상상력을 펼쳐라, 예술을 펼쳐라’의 주제로 개최된 이번 포럼을 위해 전국의 유ㆍ초ㆍ중ㆍ고 교사들이 모였다. “교사이기 전에 한 사람으로서, 예술을 느끼고 즐기고 만들어가는 삶의 예술가로서 ‘나’를 발견해보자”는 주성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의 주제 강연처럼, 2014.11.10.
국내소식 [인천] 인천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포럼 ‘별빛살롱’ 인천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포럼 ‘별빛살롱’에서 〈교사가 예술가와 만났을 때 – 교사와 예술가의 문화예술교육 협업 사례〉에 대한 포럼을 진행한다. 등록일: 2014.10.27. · 댓글 : 0 · 조회수 1,628 2014.10.27.
국내소식 [아르떼] 우락부락에서 예술가와 함께 놀며 작업해요! 오는 8월 4일,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友樂部落)이 개최된다.우락부락은 ‘아티스트와 놀다’를 핵심 콘셉트로 하는 아동•청소년 대상 캠프로, 문화예술캠프에 관심이 있는 11~13세 아동(초등학교 4~6학년)이라면 누구나 참여 할 수 있다. 등록일: 2014.07.10. · 댓글 : 0 · 조회수 2,237 2014.07.10.
공지사항 꽃잎으로, 연필로, 그림을 쓰는 시간 클래스 후기 오래된 책 속에서 언제 넣어두었을지 모르는, 그래서 더욱 무심해 보이는 꽃잎은 종종 희미한 기억을 떠오르게 합니다. 하지만 백은하 작가가 책 속에서 꺼낸 꽃잎은 조금 특별합니다.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꽃잎이니까요. 꽃잎으로 이야기를 쓰는 작가 백은하와 함께했던 아르떼랩은 참가자들이 만들어 낸 ‘감동’과 ‘따뜻함’으로 채워진 시간이었습니다. 2014.07.07.
인터뷰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완성하는 조건 CCE(Creativity, Culture and Education)는 영국정부의 ‘창의적 파트너십(Creative Partnetships, http://www.creative-partnerships.com/ )’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예술을 활용하여 아동과 청소년의 창의력개발을 도모하며, 다음의 두 가지 이슈에 집중해 설계되었습니다. 2014.07.07.
해외소식 [싱가포르] 연극교육포럼 싱가포르에서 연극교육의 중요성 및 발전 관련 이슈를 탐구하는 연극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싱가포르 연극교육의 중요성과 가치 관련 공개토론을 통해 연극교육의 사회적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되짚어 보았다. 등록일: 2014.06.09. · 댓글 : 0 · 조회수 1,980 2014.06.09.
해외소식 [호주] 커뮤니티 파트너쉽 호주 예술위원회는 지역사회, 지역 예술가, 지역민, 문화기반시설간 파트너쉽 구축을 통한 프로젝트를 시행하여 지역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커뮤니티 파트너쉽’ 정책을 시행한다. 등록일: 2014.06.09. · 댓글 : 0 · 조회수 2,450 2014.06.09.
인터뷰 오늘 나는 예술가가 되었습니다 “엄마, 저기 가보자!” 아이 손에 이끌려 ‘예술체험 박람회’ 현수막이 펄럭이는 공간에 발을 들인 엄마는 “시윤아, 이것도 해 봐!”하며 어느새 아이보다 더 적극적이 되었다. 2014.05.30.
2012 꿈다락토요문화학교 나는 왜 감동하는가 _클래식계의 괴물 조윤범의 감동 사냥법 감동 ‘받다’가 아닌 감동 ‘하다’ 조윤범 지음 | 문학동네 | 2013.02.14 현악사중주단 콰르텟엑스의 리더 조윤범의 대중적 인기는 예당아트TV의 이란 강연에서 시작되었다. 고전부터 근현대까지 클래식 음악에 뚜렷한 변화를 가져온 대표적인 작곡가와 그의 작품을 함께 소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던 강연은 쉽고 명확했다. 클래식 강연으로는 전례 없는 인기를 누린 후 이 내용은 책으로 출간되었고 동명의 전국 순회공연도 현재 진행 중이다. 그의 강연은 특유의 재치와 한국적 정서를 감안한 점에서 전달력이 뛰어났고 대중적인 친밀도가 높았다.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재미있게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 왜 2013.03.13.
2012 꿈다락토요문화학교 한번쯤 떠나보자, 에고트립ego trip을. 일탈, 그것은 또 다른 나에게로의 여행이다.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은 일정한 틀이 잡혀 있어 좀처럼 벗어나기 어렵다. 예술가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그들도 일탈이 필요하고, 때로는 의도적인 일탈을 감행해 카타르시스를 얻어내기도 한다. 큰 자극은 큰 변화를 초래하기 마련이다. 그런 탓에 예술가의 일탈 행위에는 극단적인 것이 많다. 음부 노출 혹은 과시 행위, 자학, 할복 자살. 일반인으로서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이런 일들을 벌이며 이들이 얻는 것은 ‘다른 것의 가치’이다. 자아가 확장된다는 말은 현재의 자아를 부정하고 새로운 자아로 나아간다는 것인데 그 각성의 과정은 항상 2012.09.12.
2012 꿈다락토요문화학교 내 그림을 위한 변명_화가의 노트 한 시대를 고민한 예술가들의 육성을 듣다 허싼포 엮음 | 차혜정 옮김 시그마북스 | 2013.04.10 문학이 아닌 회화나 조각을 하는 예술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서 무엇을 얘기하려고 했을까? 그리고 그들의 작품에 나타난 형태와 색채, 다양한 기법은 어떤 철학적 배경과 예술학적 고민의 산물일까? 이러한 우리의 궁금증에 대해 앙리 마티스는 ‘한 화가가 대중에게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것은 자기 작품을 추천할 목적 외에도 회화예술에 대한 생각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하며 회화예술가의 글을 통한 자기표현에 대해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하지만 바로 이어서 ‘사실 화가의 가장 2013.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