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나

『티칭아티스트의 두 세계』가 제기하는 교육적‧예술적‧직업적 이슈

예술과 관련된 거의 대부분의 개념이 그러하듯, 티칭아티스트(Teaching Artist)의 개념 역시 경계를 넓혀가며 팽창 중이고, 그 범주와 역할에 대한 논의는 진행 중이다. 특히 무용과 연극분야는 (이 책이 쓰인 미국에서도) 학교 안팎 교육에서의 역할과 기여도에도 불구하고 “있으면 좋은” “기타의” 활동으로 여겨지며, 학문적 고찰 역시 소원하다. 이 책의 저자들은 미국 웨인주립대학의 무용, 연극과의 교수들이지만, 묶어낸 연구들은 현장 중심적이고 실증적이다. 학교 안팎 외에도 다양한 현장의 티칭아티스트 사례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구논문, 현장기록, 사례연구,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와 학문적 성찰을 담았다.

  • 『티칭아티스트의 두 세계』 (메리 엘리자베스 앤더슨, 더그 리즈너, 아카넷, 2018)
비대칭 권력관계의 창의적 조정
제목 『티칭아티스트의 두 세계』(Hybrid Lives of Teaching Artist)가 의미하듯 교육자와 예술가는 종종 정반대의 가치를 지향한다고 여겨진다. 예술가의 도전정신, 탐험, 실패의 위험성, 예측불가능성은 학교 교육 시스템의 특성과는 멀다. 그 갭(gap)을 메우면서 예술이라는 창의적 활동과 사회의 통합, 건강한 시민의식을 연결하고자 고군분투하는 것은 티칭아티스트의 몫이다. 연구와 인터뷰를 통해 드러나는 그들의 삶과 역할 역시 책 제목처럼 양면적이다.
이 책은 티칭아티스트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인 범주화나 개별 아티스트의 개발을 위한 하우투(how to)가 아니다. 오히려 사회적 소외계층과 사회적 통합을 위해 기여해온 티칭아티스트들이 스스로 경험하는 사회, 문화, 경제적 소외와 그를 야기한 비대칭 권력관계를 “창의적이고 의도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보인다. 두 저자는 질적 혼합연구방식을 채택하여 3년간 172명의 무용 및 연극분야 티칭아티스트들을 인터뷰하고, 양적 데이터를 모았다. 172명의 티칭아티스트들은 역할, 어려움, 현장에서의 활동, 교육 목적, 준비, 평가, 전문성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응답하였고, 이들의 생생한 목소리는 이 책의 주요한 골격이자 3개의 챕터를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보다 예술교육에 더 호의적인 문화적 환경일 것이라는 예상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미국에서는 지난 50년간 교육제도의 변화와 정치적 환경이 지속적이고 꾸준한 예술교육 프로그래밍을 방해해왔다고 지적하면서 책을 연다. 티칭아티스트들은 지난 십여 년간 건강한 시민문화를 위해 기여해 왔으나 그들은 정작 “부족한 일자리, 일관성 있는 훈련과정과 전문성 함양 프로그램의 부재”를 경험한다. 그와는 반대로 티칭아티스트에 기대하는 역할은 복잡해지고 팽창한다. 티칭아티스트는 예술가의 전문성을 지니고 복잡하고 섬세한 평가를 하며, 학생들을 예술가로 대하는(p.77) 사람들로, 시각예술에서 창의적 글쓰기까지 수많은 다학문과 하위학문을 포함하지만 그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원은 미비하다. 상당수가 10년 이상 티칭아티스트로 활동하지만 대부분이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상근직 임금의 18~59%에 달하는 보수를 받는다(p.35). 효과적인 티칭아티스트가 되는 데 도움이나 받은 영향은 현장(75%), 다른 티칭아티스트(67%), 독학(65%)의 비율이 높았다.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예술 지원이 가장 먼저 삭감되고, 학교에 돈이 별로 없고, 예술위원회가 돈이 없고 그게 다 합쳐지면 일자리가 없다. 나는 수당을 지불하지 않는 수업과 관련 없는 업무를 요구하는 곳에서는 기관들과도 작업하지 않는다. (중략) 내가 생계를 꾸릴 정도로 일할 방법을 찾지 못한다면 이 분야를 떠나야 할지도 모른다.”
– 티칭아티스트 인터뷰(p.227)
정체성, 현장, 실천에 대한 생생한 목소리
이 책은 3개의 챕터로 나뉜다. 티칭아티스트의 정체성과 역할을 다룬 1부에서는 어떤 이들이 티칭아티스트가 되고 그들의 전문성(무용 혹은 연극)이 학습자와의 관계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가르치는 학습자, 학습하는 교사」 맷 제닝스), 또 모호한 경계에서 자기의 역할을 규명해 나가는 티칭아티스트들의 목소리(「우리는 더 이상 실직 중인 배우가 아니다」 더그 리즈너 외) 등이 담겨있다.
2부 “활동현장”에서는 티칭아티스트들의 실무현장에 대한 조사를 시작으로 프로그램 개발, 교육을 위한 성찰과정(「성찰하는 티칭아티스트가 되기 위한 준비」, 크리시 틸러), 학교 교육 안에서 공감과 진정성의 의미로 접근하는 활동가들의 목소리(「마음으로 춤추기」 사라 휴스턴, 「공감의 예술교육」 더그 리즈너 외) 등이 있다.
3부 “책임감 있는 실천”에서는 티칭아티스트라는 작업의 윤리적 측면을 비롯하여 활동가들의 자신의 직업에 대한 훈련과 성찰의 방식을 다룬다. 티칭아티스트 평가와 사정에 대한 연구(「교육 평가에 참여하는 티칭아티스트」 배리 오렉 외), 자신의 활동을 연구할 때의 윤리적 문제를 다룬 「티칭아티스트-연구자의 다면성과 윤리적 문제」(대리 스나이더영)도 눈에 띈다.
정리하자면, 이 책은 현실 속 티칭아티스트들의 경험과 목소리를 학문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기록한다. 지금 활동하고 있는 티칭아티스트는 어떤 사람들인지, 오늘날 이들의 활동을 지지하거나 위협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오늘날 티칭아티스트의 지위는 무엇인가? 이 책은 그 긍정적 업적에도 불구하고 학교로 가는 예술가의 아름다운 승리나 감회, 혹은 당장 적용 가능한 티칭아티스트를 위한 개발서 와는 거리가 멀다. 기본적으로 논문의 방식을 띤 원고들은 수월하게 읽혀지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냉정하게 누가 어떻게 왜 티칭아티스트의 역할을 해왔는지를 다루며,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티칭아티스트들이 예상되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성찰이나 교육체계의 구체화를 시도하는데 좋은 참고문헌이 될 것이다.
다르지만 낯설지 않은
한국과 미국이라는 문화적, 정치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점을 수긍하게 되는 부분도 있다. 상당수의 티칭아티스트들은 “이 일을 하게 된 이유”를 묻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했다. “나는 뼛속부터 교사이다”(무용68%, 연극62%), “예술을 통한 학습은 모든 이에게 중요하다고 믿는다”(무용70%, 연극 52%).(p.122) 소명의식과 사회적 책임감이 가장 중요한 동기가 되었지만 그들이 티칭아티스트로서 직면하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언급한 “행정 관료체계와 정책, 그다음으로는 낮은 임금과 부족한 일자리”(p.123) 역시 우리에게 낯선 것이 아니다. ‘베스’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한 티칭아티스트의 목소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왜 이 일을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가르쳐준다.

“예술표현에 노출될 기회가 거의 없는 커뮤니티와 아이들에게 예술기반의 학습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내가 하는 일은 정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나는 예술의 가치를 절하하는 풍토에 맞서 싸우고 예술에 재능이 있는 아이들을 위한 공간을 만든다.”
– 베스(무용 티칭아티스트) 인터뷰

제환정
제환정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강의전담교수다. 템플대학교에서 무용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춤과 춤추는 인간, 그리고 춤이 어떻게 인간사회에 기여하는지에 대해 관심이 많다.
jaehj07@gmail.com

55 Comments
  • author avatar
    박진 2018년 05월 09일 at 11:56 PM

    학교와 사회분야 예술강사를 하고 있는 지 14년차 입니다 . 스스로 항상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교육적, 예술적, 직업적인 것에 대한 것 이었는데 총서를 보면 고민을 해소할 수 있겠다는 기대가 됩니다. 비용을 들여 구입해서라도 꼭 읽어보고 싶습니다.

  • author avatar
    김다솔 2018년 04월 30일 at 11:17 PM

    예술강사로 활동하며 배우인지 강사인지 정체성에 혼돈이 올때가 많았습니다. 지금도 연극교육에 관련한 논문을 쓰고 있는데 과연 내가 하고 있는 예술교육에 대한 믿음은 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됩니다. 이번 총서를 읽으며 가르치는 예술가가 무엇인지 알게되는 기회가 되어 제 혼돈에 길잡이가 되어주길 바랍니다!!??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5월 02일 at 2:23 PM

      이번 총서가 혼돈의 길라잡이가 되어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지나 2018년 04월 30일 at 12:53 PM

    티칭 아티스트라는 개념이 상대적으로 낯선 우리나라에서 티칭 아티스트로 성장하고 실질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5월 02일 at 2:23 PM

      티칭 아티스트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안내되어 있는 총서를 통해 많은 도움 받으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수영 2018년 04월 29일 at 12:23 PM

    티칭아티스트 저도 매우 관심있고, 빠르게 급변하는 현시대에 전통을 고수하던 예술가들도 현실을 직시하여 우리춤이 나아갈 방향성을 고민해야되는 그리고 체계적으로 발전시켜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이 부분에 공감하고 앞으로 동참해서 연구하려고 합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5월 02일 at 2:23 PM

      나아갈 방향성과 함께 체계적인 발전에 총서가 꼭 도움을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보현 2018년 04월 25일 at 10:02 AM

    요즘 예종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수업 듣고 있는데요, 이번 학기가 마지막이라 최종 실습 들으면서 TA에 대해 많이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관련 자료가 사실 거의 전무하다고 볼 정도로 없어서 여러모로 갈증이 많았는데 우연한 기회에 이 책을 보게 되었어요. 바로 링크 타고 들어와서 신청합니다. 무용원 교수님이시기는 하지만 연극원에도 적용할 이야기가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같이 듣는 학생들하고도 나눠보고 싶네요^^ 수고하세요!!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4월 27일 at 1:06 PM

      학생들과의 나눔에 도움을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송금숙 2018년 04월 25일 at 9:34 AM

    예술울 하는 사람으로서 많은 부분이 공감이 갑니다.
    이 책을 통해서 다시한번 발전할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고 싶습니다.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4월 27일 at 1:00 PM

      방법을 찾는데 함께해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이은아 2018년 04월 24일 at 3:09 PM

    예술교육에 관심 있는 연극입니다.
    도전하고 싶지만 항상 막연함이 앞서 망설이게 되더군요.
    이 책의 실질적인 지식이 그 막연함을 걷어주리라 기대합니다.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4월 27일 at 1:00 PM

      총서를 통해 막연함을 해결해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정지은 2018년 04월 24일 at 6:27 AM

    국가의 지원으로 시작되었지만 프리랜서로 일거리를 찾아야하는 티칭아티스트는 현상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공공기금에 지원해야 하는 한계는 실험과 무관하게 합니다 학교 사회현장의 공공시스템을 더 열어주셔요 아티스트가 넘처나지만 현장의부족으로 티칭과 예술의 콜라보는 실천이 어렵답니다 이 책 속 무한한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 싶네요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4월 27일 at 12:59 PM

      무한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Leave a Reply to arte365 Cancel reply

55 Comments
  • author avatar
    박진 2018년 05월 09일 at 11:56 PM

    학교와 사회분야 예술강사를 하고 있는 지 14년차 입니다 . 스스로 항상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교육적, 예술적, 직업적인 것에 대한 것 이었는데 총서를 보면 고민을 해소할 수 있겠다는 기대가 됩니다. 비용을 들여 구입해서라도 꼭 읽어보고 싶습니다.

  • author avatar
    김다솔 2018년 04월 30일 at 11:17 PM

    예술강사로 활동하며 배우인지 강사인지 정체성에 혼돈이 올때가 많았습니다. 지금도 연극교육에 관련한 논문을 쓰고 있는데 과연 내가 하고 있는 예술교육에 대한 믿음은 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하게 됩니다. 이번 총서를 읽으며 가르치는 예술가가 무엇인지 알게되는 기회가 되어 제 혼돈에 길잡이가 되어주길 바랍니다!!??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5월 02일 at 2:23 PM

      이번 총서가 혼돈의 길라잡이가 되어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지나 2018년 04월 30일 at 12:53 PM

    티칭 아티스트라는 개념이 상대적으로 낯선 우리나라에서 티칭 아티스트로 성장하고 실질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5월 02일 at 2:23 PM

      티칭 아티스트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안내되어 있는 총서를 통해 많은 도움 받으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수영 2018년 04월 29일 at 12:23 PM

    티칭아티스트 저도 매우 관심있고, 빠르게 급변하는 현시대에 전통을 고수하던 예술가들도 현실을 직시하여 우리춤이 나아갈 방향성을 고민해야되는 그리고 체계적으로 발전시켜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이 부분에 공감하고 앞으로 동참해서 연구하려고 합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5월 02일 at 2:23 PM

      나아갈 방향성과 함께 체계적인 발전에 총서가 꼭 도움을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보현 2018년 04월 25일 at 10:02 AM

    요즘 예종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수업 듣고 있는데요, 이번 학기가 마지막이라 최종 실습 들으면서 TA에 대해 많이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관련 자료가 사실 거의 전무하다고 볼 정도로 없어서 여러모로 갈증이 많았는데 우연한 기회에 이 책을 보게 되었어요. 바로 링크 타고 들어와서 신청합니다. 무용원 교수님이시기는 하지만 연극원에도 적용할 이야기가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같이 듣는 학생들하고도 나눠보고 싶네요^^ 수고하세요!!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4월 27일 at 1:06 PM

      학생들과의 나눔에 도움을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송금숙 2018년 04월 25일 at 9:34 AM

    예술울 하는 사람으로서 많은 부분이 공감이 갑니다.
    이 책을 통해서 다시한번 발전할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고 싶습니다.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4월 27일 at 1:00 PM

      방법을 찾는데 함께해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이은아 2018년 04월 24일 at 3:09 PM

    예술교육에 관심 있는 연극입니다.
    도전하고 싶지만 항상 막연함이 앞서 망설이게 되더군요.
    이 책의 실질적인 지식이 그 막연함을 걷어주리라 기대합니다.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4월 27일 at 1:00 PM

      총서를 통해 막연함을 해결해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정지은 2018년 04월 24일 at 6:27 AM

    국가의 지원으로 시작되었지만 프리랜서로 일거리를 찾아야하는 티칭아티스트는 현상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공공기금에 지원해야 하는 한계는 실험과 무관하게 합니다 학교 사회현장의 공공시스템을 더 열어주셔요 아티스트가 넘처나지만 현장의부족으로 티칭과 예술의 콜라보는 실천이 어렵답니다 이 책 속 무한한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 싶네요

    • author avatar
      arte365 2018년 04월 27일 at 12:59 PM

      무한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앞으로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하는 총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Leave a Reply to arte365 Cancel reply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