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 인문키움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에 대해 알아보는 그 세 번째 만남! 오늘은 인문학적 시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인문키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주로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기관 ∙ 단체 실무자 등 문화예술교육 ‘현장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아마 많은 현장 실천가분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학생들과 호흡하며 치열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계시겠지요. 그 하루하루가 쌓여 너무 많은 시간이 흘러가버리기 전에 잠시 숨을 고르고 ‘왜 문화예술교육을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인문키움’은 인문학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강사님들과의 소통을 통해 이 질문에 대해 고민해보실 수 있는 장을 여러분께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 ‘인문학’이란?

 

간에 대한 질문

인문학은 인간과 다른 인간, 이를 둘러싼 문화에 대한 탐구입니다.

질문을 하는 사람만이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진지한’ 질문을 하는 사람만이 ‘진지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door)

문을 어떤 모양으로 어떤 곳에 내느냐에 따라 다른 세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인문학은 인간에게 이러한 ‘문’과 같은 존재입니다.

 

생    

인문학은 ‘인간의 삶’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삶이 끝날 때까지 배우는 ‘학생’이 아닐까요?

 

■ 왜 ‘인문키움’인가?

 

여러분은 ‘문화예술교육’과 ‘인문학’의 공통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정해진 답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공통점이 아닐까 싶은데요. 그래서 개개인이 지닌 ‘자신만의 답’이 더욱 중요합니다. 인문학은 문화예술교육이 ‘자신만의 답’을 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arte에서는 7월부터 11월 말까지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 철학, 문학, 미학, 예술비평과 같이 각기 다른 분야로 ‘인문키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인문키움, 말,말,말!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탐색 – 철학과 문화예술교육
이지애,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

 

“철학 하기(doing philosophy)로서의 철학교육의 특징과 문화예술교육의 접점은 ‘보편성, 치유와 통합, 공동체성’으로 생각합니다. 더 나아가 문화예술교육에 ‘예술하기, 예술함(Doing arts/Arting)이라고 이름 붙이고 싶습니다.”

 

 

 

전설 따라 동네 한 바퀴 – 신화와 문화예술교육
정재서, 이화여대 중어중문과 교수

 

“상상력은 자유롭지 못하며, 문화적 환경에 제약을 받습니다. 우리는 너무 서구문화를 중심의 사고방식에 젖어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동양신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세계를 균형 있게 이해해야 합니다.”

 

 

시, 예술 감상 – 문학과 문화예술교육
김소연 시인, 어린이 도서관 ‘웃는책’ 전 관장
심보선 시인, 경희사이버대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이 시간에는 모두 시를 쓰는 사람이 되어 시가 어렵고 낯설다는 편견을 극복하고 창조적인 제작, 즐거운 놀이로 시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시를 쓰는 재료인 단어를 다른 곳에서 빌려 와 새로운 나만의 시를 써봅시다.”

 

■ 인문키움, 직접 만나보세요!

 

11월 28일 수요일에는 ‘예술강사다움’의 조건- 정체성과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앞으로 진행될 프로그램을 통해 인문키움을 직접 만나보세요!

 

글 | AA 리포터 _강우리

우리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모든 이가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이야기를 전할 수 있기를. 열심히 뛰어다니며, 현장에서 고민하기!

 

42 Comments
  • author avatar
    이효은 2012년 10월 04일 at 10:20 PM

    왜 문화교육인가에 대해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10:34 PM

      네~~ ‘문화예술교육이 좋다’라는 것은 당연하게 답할 수도 생각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정말 왜 필요한지’, ‘어떻게 해나가야 할지’, 항상 치열하게 고민해야겠지요.
      arte가 앞장서서 해나가겠습니다!!!

  • author avatar
    Nicole Kang 2012년 10월 04일 at 10:10 PM

    인문학을 공부한 인문학도로써, 당연히 고민하고 탐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네요! 인문키움! 굉장히 좋은 발상인것 같아요! ㅎㅎ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10:13 PM

      인문학도님!!! 댓글 감사드립니다.
      인문학과 문화예술교육은 각도에 따라 여러 접점이 있을 수 있겠지요.
      다른 학문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요.
      문화예술을 사랑하는 우리들은 고정된 생각으로 살아가는 것보다는
      열린 마음으로 더욱 확장된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author avatar
    김재우 2012년 10월 04일 at 9:58 PM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인문키움, 프로그램도 있었군요!!
    인문학에 대해서 새로운 정의가 신선하네요 ㅋㅋ
    인문키움 지도자 분들의 프로그램에대한 간단한 정의가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알고싶게 많드는거 같아요
    기회가되면 인문키움 참여자분들 느낀점도 담아주시면 참여를 희망하는
    분들에게 더 도움이 될거같아요 ㅋㅋ

    잘보고갈께요~ 앞으로도 좋은 기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10:04 PM

      의견 감사드립니다.
      다음 달 기사에서는 문학과 문화예술에 참여하신 분들께서
      직접 지으신 ‘시’도 선보일 예정이니 기대 많이 해주세요.
      저도 시를 짓는 것이 정말 어려울 것 같아서 걱정 많이 했는데
      너무 재미있게 유쾌한 시간이었거든요^^
      응원 감사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재우 2012년 10월 04일 at 9:57 PM

    * deleted *

  • author avatar
    hwang boyeon 2012년 10월 04일 at 9:41 PM

    멀게 느껴졌던 인문학이새롭게보이네요^^좋은자료 잘보고갑니다~~ㅋㅋㅋㅋ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45 PM

      댓글 감사드립니다.
      직접 참여해보시면 더 가깝고 새롭게 느껴지실꺼에요~~
      못 오신다면 제 다음 기사를 기대해주세요!!(>.<)

  • author avatar
    백지현 2012년 10월 04일 at 9:36 PM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정보도 감사합니다. ^^
    요즘 일교차가 심한데 감기조심하시고 힘내세요 화이팅!!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44 PM

      응원 감사드립니다!!!
      저희 목요일 코너 리포터들은 여러분의 댓글에 실린 애정을 먹고 자라난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강섭 2012년 10월 04일 at 9:35 PM

    인문학은 영상의 기초가 되고 창작활동에 근본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소재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제작을 하면서 인문학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아쉬움을 느끼고 있는데 인문키움에서 좋은 영상을 만드시네요
    ^^~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43 PM

      네~ 굳이 따로 학문으로 배우지 않더라도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보고 듣고 느끼는 많은 것들이 인문학적 소양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을텐데요.
      인문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배운다면 삶의 깊이를 더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실용 학문들과도 여러모로 접목 시킬 수 있겠지요^^

  • author avatar
    김서린 2012년 10월 04일 at 9:32 PM

    시간이 흐를수록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자 출발점은 교육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전직 사서이자 현직(?) 문화예술경영 전공자로서 깊이 공감하고 갑니다. ^^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39 PM

      대문 사진 모델로 발탁 된 소감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ㅎㅎ
      이럴 줄 알았으면 좀 꾸미고 찍는건데 그지용??
      전 날 완전 놀아서 초췌하게 하고 간 날 아니었나 싶네요~~
      저도 항상 서린님의 앞 길을 응원합니다^^

  • author avatar
    서지원 2012년 10월 04일 at 9:22 PM

    인문학과 문화 두키워드가 절묘하게 만났네요!좋은 기회 멋지게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당^^항상 기사 잘 보고있어용 힘내세용♥_♥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26 PM

      덕분에 힘이 나네요!!! 감사합니다>.<
      기회가 되시면 다음 프로그램에 꼭 참여해보시기를 권해드려요~~

  • author avatar
    박미란 2012년 10월 04일 at 1:07 PM

    이지애 교수님의 이야기가 와 닿네요. 보편성, 치유와 통합, 공동체성 –
    중요한 키워드인 것 같습니다.
    강의 내용을 볼 수 있는 곳이 없을까요?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09 PM

      인문키움이 다 끝난 후에 영상으로 서비스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전체 내용을 다 보시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음 달에는 지난 인문키움 강좌인 ‘문학과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내용에 대한 기사를 전해드릴텐데요.
      지금까지 진행 된 내용의 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 질 예정인지 알아보고
      댓글 다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2 3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Leave a Reply to 김강섭 Cancel reply

42 Comments
  • author avatar
    이효은 2012년 10월 04일 at 10:20 PM

    왜 문화교육인가에 대해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10:34 PM

      네~~ ‘문화예술교육이 좋다’라는 것은 당연하게 답할 수도 생각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정말 왜 필요한지’, ‘어떻게 해나가야 할지’, 항상 치열하게 고민해야겠지요.
      arte가 앞장서서 해나가겠습니다!!!

  • author avatar
    Nicole Kang 2012년 10월 04일 at 10:10 PM

    인문학을 공부한 인문학도로써, 당연히 고민하고 탐구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것 같네요! 인문키움! 굉장히 좋은 발상인것 같아요! ㅎㅎ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10:13 PM

      인문학도님!!! 댓글 감사드립니다.
      인문학과 문화예술교육은 각도에 따라 여러 접점이 있을 수 있겠지요.
      다른 학문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요.
      문화예술을 사랑하는 우리들은 고정된 생각으로 살아가는 것보다는
      열린 마음으로 더욱 확장된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author avatar
    김재우 2012년 10월 04일 at 9:58 PM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인문키움, 프로그램도 있었군요!!
    인문학에 대해서 새로운 정의가 신선하네요 ㅋㅋ
    인문키움 지도자 분들의 프로그램에대한 간단한 정의가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알고싶게 많드는거 같아요
    기회가되면 인문키움 참여자분들 느낀점도 담아주시면 참여를 희망하는
    분들에게 더 도움이 될거같아요 ㅋㅋ

    잘보고갈께요~ 앞으로도 좋은 기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10:04 PM

      의견 감사드립니다.
      다음 달 기사에서는 문학과 문화예술에 참여하신 분들께서
      직접 지으신 ‘시’도 선보일 예정이니 기대 많이 해주세요.
      저도 시를 짓는 것이 정말 어려울 것 같아서 걱정 많이 했는데
      너무 재미있게 유쾌한 시간이었거든요^^
      응원 감사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재우 2012년 10월 04일 at 9:57 PM

    * deleted *

  • author avatar
    hwang boyeon 2012년 10월 04일 at 9:41 PM

    멀게 느껴졌던 인문학이새롭게보이네요^^좋은자료 잘보고갑니다~~ㅋㅋㅋㅋ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45 PM

      댓글 감사드립니다.
      직접 참여해보시면 더 가깝고 새롭게 느껴지실꺼에요~~
      못 오신다면 제 다음 기사를 기대해주세요!!(>.<)

  • author avatar
    백지현 2012년 10월 04일 at 9:36 PM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정보도 감사합니다. ^^
    요즘 일교차가 심한데 감기조심하시고 힘내세요 화이팅!!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44 PM

      응원 감사드립니다!!!
      저희 목요일 코너 리포터들은 여러분의 댓글에 실린 애정을 먹고 자라난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author avatar
    김강섭 2012년 10월 04일 at 9:35 PM

    인문학은 영상의 기초가 되고 창작활동에 근본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소재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제작을 하면서 인문학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아쉬움을 느끼고 있는데 인문키움에서 좋은 영상을 만드시네요
    ^^~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43 PM

      네~ 굳이 따로 학문으로 배우지 않더라도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보고 듣고 느끼는 많은 것들이 인문학적 소양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을텐데요.
      인문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배운다면 삶의 깊이를 더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실용 학문들과도 여러모로 접목 시킬 수 있겠지요^^

  • author avatar
    김서린 2012년 10월 04일 at 9:32 PM

    시간이 흐를수록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자 출발점은 교육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전직 사서이자 현직(?) 문화예술경영 전공자로서 깊이 공감하고 갑니다. ^^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39 PM

      대문 사진 모델로 발탁 된 소감은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ㅎㅎ
      이럴 줄 알았으면 좀 꾸미고 찍는건데 그지용??
      전 날 완전 놀아서 초췌하게 하고 간 날 아니었나 싶네요~~
      저도 항상 서린님의 앞 길을 응원합니다^^

  • author avatar
    서지원 2012년 10월 04일 at 9:22 PM

    인문학과 문화 두키워드가 절묘하게 만났네요!좋은 기회 멋지게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당^^항상 기사 잘 보고있어용 힘내세용♥_♥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26 PM

      덕분에 힘이 나네요!!! 감사합니다>.<
      기회가 되시면 다음 프로그램에 꼭 참여해보시기를 권해드려요~~

  • author avatar
    박미란 2012년 10월 04일 at 1:07 PM

    이지애 교수님의 이야기가 와 닿네요. 보편성, 치유와 통합, 공동체성 –
    중요한 키워드인 것 같습니다.
    강의 내용을 볼 수 있는 곳이 없을까요?

    • author avatar
      강우리 2012년 10월 04일 at 9:09 PM

      인문키움이 다 끝난 후에 영상으로 서비스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전체 내용을 다 보시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음 달에는 지난 인문키움 강좌인 ‘문학과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내용에 대한 기사를 전해드릴텐데요.
      지금까지 진행 된 내용의 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 질 예정인지 알아보고
      댓글 다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2 3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Leave a Reply to 김강섭 Cancel reply

비밀번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