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요즘 어떤 생각을 하고 계시나요? 우리 일상과 현장에 영감을 주는사례와 시도를 소개합니다.

우리는 매일 음악 속을 살아갑니다

세모, 네모가 소리를 가졌다면 어떤 소리를 낼까요? 빗방울들이 하나하나 음을 낸다면 비 오는 날 우리는 어떤 기분일까요?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소리나 음, 그리고 그래픽을 재료로 즐겁게 놀아보는 방법입니다. 룰라톤은 실험 창작 음악 그룹입니다. 일본 나고야에 사는 요시히미 토미다와 숀 제임스 세이무어 부부가 만들어가는 음악은 나른하고 반복적이며 달콤한 특징이 있습니다.

신비한 세상 속으로

거울을 이용해 다양한 패턴을 만들어 보는 일은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특히 각도에 따라 보이는 것이 다르거나, 거울로 둘러싸인 공간에 들어서면 또 다른 차원에 들어서 있는 것처럼 신비로운 느낌을 얻기도 하죠. 거울을 활용한 예술수업은 쉽게 무용수업 등에서 나의 얼굴이나 몸짓을 바라보고, 움직임을 관찰하는 정도로 생각하기 쉬운데요

2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하는 문화예술체험

곧 봄이 올 모양이다. 절기상 봄의 문은 이미 열렸고, 이제 우리가 눈으로 마주하고 피부로 느낄 일만 남았다. 봄이 오면 시작될 많은 일들을 기다리며 남은 겨울을 내 안의 감성을 흠뻑 채워보는 시간으로 삼아보자. 미뤄두었던 책도 꺼내 읽고, 다른 이의 철학에도 기대어 보고. 2월의 문화가 있는 날은 나를 위한 시간, ‘사색’의 시간을 소개한다.

도서관에서 영화를 읽다

한 해에 극장에서 개봉하는 영화는 대략 300편 정도다. 개봉작을 극장에서 챙겨보려면 매일 극장으로 출근을 해야 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때론 깜깜한 극장보다 환한 도서관에서 영화를 읽는 것도 좋은 관람법이 된다.   올 상반기 개봉작 중 책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들 〈우아한 거짓말〉 〈노예12년〉 〈방황하는 칼들>   얼마 전 서점을 둘러보고 있자니 ‘영화 원작’이란 홍보 문구가 적힌 책들을 여럿 눈에 띄었다. 그러고 보면 영화 기자 시절에도 자주 쓰던 기사 중에 하나가 원작과 영화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근 몇 년 동안 책에서 시작한 영화 리스트를

경로를 이탈하였습니다

‘감각 너머’는 리움미술관의 접근성 프로그램으로, 해마다 하나의 주제를 정해 한 해 동안 워크숍, 강연, 포럼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간다. 2025년의 주제는 ‘미디어’이다. 여기서 말하는 미디어는 단순한 기술적 매체라기보다, 감각과 감각 사이를 잇는 매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탐색의 연장선에서 기획된 워크숍이 바로 <보자보다보니까>이다. 이 워크숍은 시각장애인, 그중에서도 ‘저시력’이라는 넓고 다양한 감각적 스펙트럼을 지닌 관객들과 함께 ‘접근 가능한 전시 감상’에 대해 고민하고 실험한 리서치 기반의 프로젝트다. 기존의 접근성 장치들이 주로 시각 정보를 전달하거나 대체하는 데 집중해왔다면, 이 워크숍은 ‘감각의 대체’를 넘어

홍대 거리 한복판에서 만나는 무용
무용의 대중화 플래쉬몹_ 언엔딩

평소와 다름없이 길을 지나고 있는데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이더니 갑자기 약속한 듯 똑같은 행동을 하고 뿔뿔이 흩어지는 광경을 본 적 있으신가요? 바로 플래쉬몹을 말하는 건데요. 외국에나 있을 법한 이 플래쉬몹이 홍대 거리에서도 펼쳐졌습니다. 예술인연합단체 언엔딩(UNENDING)의 무용의 대중화 플래쉬몹 프로젝트인데요. 무용이라고 하면 준비된 공연장에서 접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거리에서 플래쉬몹으로 펼쳐진 무용은 어떤 모습일까요? 그 이야기가 담긴 현장으로 함께 가보실까요?   2013년 10월 26일 오후 4시. 젊음과 열정이 넘치는 홍대 거리에 흥겨운 음악과 함께 사람들이 등장했습니다. 지나가던 이들의 발길을 멈추게 하고 시선을

손 내밀고 손잡을 용기가 필요하다

책으로 읽는 문화예술교육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과정은 변화한다. 작년 12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발표되었다. 이번 교육과정은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비전으로 내세우고 있다. 팬데믹과 인공지능의 발전 등 오늘날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은 한 개인으로서 갖춰야 하는 역량인 창의성과 더불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을 ‘포용성’이라는 낱말로 표현하고 있다.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김원영, 사계절출판사, 2018) 『입 없는 아이』 (박밤, 이집트, 2020) 존중의 관계를 맺는 최선의 방법 학교와 사회는 다양한 생각과 가치관, 정체성을 품은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단적으로 16만

똑똑! 책 빌리러 왔습니다!
집이 도서관이 되는 똑똑 도서관_김승수 관장 인터뷰

똑똑! 이웃집의 문을 두드려본 적이 있나요? 옆집에 누가 사는지 관심도 없이 살아가는 팍팍한 우리네 삶에 집을 도서관으로 만들어 이웃 간 정을 나누고 이야기를 펼치는 사랑방이 있습니다. 바로 경기도 파주의 ‘똑똑 도서관’이 그곳입니다. ‘똑똑 도서관’은 뜻을 함께한 이웃끼리 서로의 집을 개방하여 도서관으로 운영하고 있답니다. 도서관의 신개념을 보여준 똑똑 도서관은 어떤 곳인지, 이곳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똑똑 도서관의 관장인 김승수님의 인터뷰를 통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똑똑 도서관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나요?   전에 아파트 동대표를 한 적이 있는데, 이때 이웃 주민들을 만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