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현대무용'

최신기사

문화예술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 본격 시작

2018 문화예술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가 올 하반기에 본격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문화예술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는 문화예술계 저명인사 또는 예술인이 명예교사가 되어 일반 시민에게 문화예술의 이해와 깊이 있는 예술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2009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10년 차를 맞이하는 ‘특별한 하루’는 지금까지 436명의 명예교사가 참여하여 1,600여 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 바 있다. 올해에는 분야별 전문성을 확대하고, 명예교사 선정의 공공성을 확보하고자 각 분야 전문기관의 협력을 통해 명예교사 풀을 마련했다. 그 결과 ▲국립현대무용단의 추천으로 최수진 현대무용가, 김설진 안무가, 차진엽 안무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추천으로 안창모 건축가,

그러므로 몸으로, 발견-회복-실현

국립현대무용단 ‘무용학교’

체감하진 못하지만,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민의 일상에 변화를 주고 있는 듯하다. 최근 기사에 따르면 ‘여가 관련 카드 매출이 지난해보다 9.2%’(조선일보, 2018.10.7.) 증가했다고 한다. 신용카드사용 빅데이터를 다룬 또 다른 통계에서는 ‘공연장이나 전시장의 결제 금액 증가세도 두드러’져 ‘티켓 판매도 16.6% 늘었다.’(아시아경제, 2018.8.27.)고 한다. 그리고 ‘발레리나, 피아니스트, 플로리스트 등 여성들의 꿈의 직업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도 평일 저녁에 가능해졌다. 예체능계 학원 등록금액이 같은 기간 9억9,749만원에서 14억1,196만원으로 늘었다’(아시아경제, 2018.8.27.)고 한다. 추산하면 41.6% 증가한 셈이다. 과연 어떤 이들이 무슨 이유로 이런 수업을 듣는 것일까? 직접 답변을

점심엔 문화 도시락 저녁엔 예술 한 잔

워라밸 시대, 변화하는 문화예술

점심엔 문화 도시락 저녁엔 예술 한 잔 워라밸 시대, 변화하는 문화예술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워라밸,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가치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공연장, 미술관 등 문화예술기관도 더 많은 시민이 예술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바쁜 현대인을 위해 점심시간이나 퇴근 후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퇴근 후 예술 파티! 미술관은 작품을 ‘감상’만 하는 곳이란 편견을 버리세요. 최근 많은 미술관이 전시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관객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에서는 매월 둘째

몸의 철학으로 도달한 미래의 시간

알바로 레스트레포, 마리 프랑스 들뢰방 / 콜롬비아 몸의학교 교장

콜롬비아에 ‘몸의학교(El Colegio del Cuerpo)’가 설립된 것은 1997년이다. 한국사회에 본격적으로 소개된 것은 2008년 무렵으로 설립 후 10년이 지난 뒤였다. 당시 KBS 다큐멘터리, EBS 지식채널을 통해 몸의학교의 철학과 운영방식이 처음 소개되었고, 실제로 몸의학교 학생들의 공연도 서울과 안산, 부산에서 이루어졌다.

내 몸을 알아가는 무용수업

내 몸을 알아가는 무용수업

대원외국어고등학교 김옥희 예술강사

김옥희 예술강사가 진행하는 무용수업을 참관하기 위해 서울 대원외고를 찾았다. 이곳은 한국의 입시교육을 둘러싼 쟁점들이 다루어질 때마다 빠짐없이 등장하는, 그 정점에 위치한 학교들 중 하나일 것이다. 약간의 긴장감을 어깨로 느끼며 교정에 들어서자 점심시간이 막 끝났는지 교정에서 볕을 쬐는 학생들이 여기저기 보였다. 수업이 진행될 건물 5층에 위치한 무용실로 안내를 받고 얼마 후 학생들이 문을 열고 들어오기 시작했다.

변화의 시기에도 방향을 잃지 않기

김소연 예술강사

서울 모 초등학교에서 만난 김소연 예술강사의 안내로 무용수업이 이루어질 장소로 이동했다. 수업을 하기에 좋은 조건의 중강당이 한눈에 들어왔다. 이곳에서 펼쳐질 수업에 대한 기대감에 설렐 때쯤 아이들이 담임선생님의 인솔을 받으며 강당 안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쉬는 시간 없이 진행된 80분간의 무용수업은 짧은 인사와 함께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