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예술치유'

최신기사

회복과 치유를 향한 걸음

난민의 삶을 보듬는 예술

회복과 치유를 향한 걸음 난민의 삶을 보듬는 예술 국경을 넘는 순간 자유, 건강, 교육 등 기본적인 권리를 보장받을 수 없는 난민의 삶. 전쟁, 테러, 재난 등의 이유로 고향을 떠나야만 했던 난민 문제는 국제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이슈 중 하나입니다. 이들의 상처와 상실을 치유하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살펴봤습니다. 자타리 프로젝트 유엔난민기구는 2013년부터 시리아 주변 국가인 요르단에 자타리(Zaatari)와 아즈락(Azraq) 난민캠프에서 공공 벽화 및 예술교육 워크숍 ‘자타리 프로젝트(Za’atari Proejct)’를 진행해왔습니다. 난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예술가, 교육자, 시민 단체 등이 프로젝트에 함께 하였습니다. 시리아와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예술치유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예술치유

아르떼 인포그래픽⑦

지금 우리 사회는 마음의 병을 앓고 있다.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인한 물질만능주의, 소외계층 문제,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에 대한 이해 부족, 사람들의 정서적 유대 쇠퇴 등이 그 이유다. UN의 ‘2015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국민 행복도는 세계 158개국 중 47위, OECD가 발표한 ‘최신 건강 보고서 2015’에서는 한국의 자살률이 1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한국의 경제수준에 비해 국민의 행복도는 낮고, 정신적 피로도는 높음을 짐작케 한다.

이진 예술강사

예술반찬으로 행복밥상을 차립니다

선덕보육원 이진 예술강사

해가 긴 여름임에도 숲 속 선덕보육원엔 이미 땅거미가 내려앉아있었다. 잘 살펴지지 않는 나뭇잎과 어렴풋이 보이는 능선은 이곳이 산 속에 위치해 있음을 알려주고 있었다. 그렇게 주변을 살피는데 여름비가 발길을 재촉한다. 한 여름 밤, 국악기 소리가 이진 예술강사로부터 아이들의 손과 귀, 마음을 통해 울리고 있었다. 어쩌면 그 한적한 시골길을 지나는 어떤 이도 우연히 들었을 일이다.

아이들과 함께한 ‘나를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프로그램

  오히려 우리 문화가 낯설게 느껴질 만큼. 서양식 문화는 우리 생활 속에 더 익숙하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사실 나의 존재는 우리 할머니와 할아버지로부터, 우리 땅의 선조들로부터 비롯됐는데도 말이죠.   “아이들에게 우리의 것이 아주 좋고, 특별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어요” – 홍정의 강사   국립민속박물관의 ‘나를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은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우리의 전통문화와 통합예술치유를 접목했습니다.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아이들은 산전과 출생, 과거시험, 성인식 등 우리 선조들의 일생 의례를 직접 살펴보고,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보면서 자기 존재의 의미를 찾아가는 ‘시간여행’을 떠나게 됩니다. 아이들의 지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