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성찰'

최신기사

용기 있는 성찰의 두께와 예술적 실천의 근육

김월식 다사리문화기획학교 교장

2016년 옛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지에 경기상상캠퍼스가 문을 열면서 다사리문화기획학교도 이곳에 자리 잡았다. 도시에서 보기 힘든 울창한 숲과 아름다운 산책로가 있는 오래된 대학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만든 장소에서 문화와 예술의 역할을 고민하고 시대와 사회의 문제를 함께 해결할 방법을 모색하는 학교가 열리게 된 것이다. 더구나 이 학교는 재미있게 ‘노는’ 학교를 표방한다. 학생들을 강요하지도 재촉하지도 않고 ‘모두가 말하고 모두가 잘사는’ 문화기획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는 얘기다.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문화기획의 성찰과 실천을 가르치는 학교, 다사리문화기획학교 김월식 교장을 만났다. 2016년부터 다사리문화기획학교를 이끌고 계신다. 어떻게 시작하게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에겐 어떤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할까요?

아르떼 인포그래픽④ 2018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신규사업 모델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교육R&D팀)에서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연구보고서, 통계 등 시의성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아르떼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여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올해는 2018년에 진행한 주요 연구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등이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 이슈 및 현황,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① 2018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② 2018 서울어젠다 이행실적 점검을 위한 기초연구 ③ 2018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④ 2018 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신규사업 모델개발 연구 ⑤ 2018 생애전환기 디지털에이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산업혁명이란 기술에 의해

변화를 리드하는 문화예술교육자의 역량

해외 문화예술교육자 역량 지표 개발 사례

훌륭한 문화예술교육자는 어떤 사람인가. 좋은 문화예술교육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인가. 예술가로서, 교육자로서 그리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문화예술교육 현장 곳곳에서 활동하는 많은 이들의 고민일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 여러 기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자가 스스로의 위치를 되돌아보고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들의 역량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개발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 자체에 대한 개발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통합적인 발전을 이끌어낼 문화예술교육자의 핵심 역량 지표 세 가지를 알아보자. 현장 방향성을 제시하는 문화예술교육자의 역량 개발 미국인을 위한 예술(Americans for the Arts) 「예술교육 리더에게

전환의 삶, 야생의 교육

인문과 교육

『선망국의 시간』(조한혜정, 사이행성, 2018) 『미래, 교육을 묻다』(정광필, 살림터, 2018) “당신은 지금 어떤 시간을 살아가고 있나요?” 문화인류학자 조한혜정의 신작 『선망국의 시간』 표지에는 위의 구절이 인쇄되어 있다. 지금·여기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위의 질문에 진지하게 자문자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모두 물리적인 시간과 생리적인 연명을 넘어, 무엇이 의미를 생성하는 진짜 삶인지에 대해 깊이 성찰하며 살아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나를 위한 시간조차 소비사회의 주체로서 쇼핑하는 데 소진하고 있으며, 유명 셀럽들의 자기계발 서적 따위를 탐독하며 각종 스펙 쌓기에 탕진하며 보내고 있다. 어쩌면

페르난두 페소아가 말하는 ‘모든 관점에서 타자되기’

[기획자 추천도서] 김현주 클리나멘 대표가 보는 『페소아와 페소아들』

포르투갈의 시인 페르난두 페소아(Fernando Pessoa)의 『페소아와 페소아들』은 70개가 넘는 페르난두 페소아의 이명(異名)으로 남긴 산문들 중에서 알베르토 카에이루(Alberto Caeiro), 알바루 드 캄푸스(Álvaro de Campos) 등 대표적 이명 9인의 글과 페소아 자신의 본명으로 남긴 6편의 글을 엮은 책이다. 페소아와 그의 이명들이 쓴 각각의 산문들은 쉽게 읽어나갈 수 있는 글은 아니다. 그가 창조해낸 이명들의 정체성을 상상하거나, 그들이 창작한 산문들의 메시지를 페소아와 연결하여 생각해보기란 쉽지 않다. 각각의 글이 주는 내용과 무게 또한 만만치 않다. 그의 산문들 속에서 발견된 페소아는 낭만주의자 혹은 감각을 추구하는 예술가로서만

우리에게 필요한 내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성찰하는 티칭아티스트』에서 찾는 성찰과 실천의 방법

이 글의 제목에서 언급한 ‘우리’는 넓게는 이 글을 만나고 있는 독자이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나와 나의 동료인 예술교육자들을 가리킨다. ‘예술강사’ 혹은 ‘티칭아티스트’라 불리며, 예술가의 정신과 교육자의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로 ‘일상을 새롭게 발견’하고 ‘삶을 성찰’하도록 안내하는 사람들.

문화예술교육 3.0: 과거에 대한 성찰에서 출발하기

아르떼, 새로운 10년을 말하다④ 기획사업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에 ‘기획사업단’이라는 신생 조직이 생겼다. 기획사업단은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를 포함하여 진흥원이 주도적으로 기획‧특화하여 추진해 오던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들에 대하여 문화예술교육 3.0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고 해당 사업의 본질적·공공적 가치를 추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