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예술교육'

최신기사

기술의 진보 속에서도 존중되어야 할 예술의 가치

라미로 오소리오 폰세카 콜롬비아 초대 문화부 장관

라미로 오소리오 폰세카. 왠지 낯익은 이름이었다. 2001년 겨울, 나는 멕시코 과나후아토 거리 위에 있었다. 당시 중남미 여행이란, 모두가 뜯어말리는 매우 위험한 일이었다. 그러나 겁도, 두려움도 없던 창창한 한 때였으므로 혼자 거리를 걷다가 세르반티노 페스티벌 지역 참가단체를 선발하는 오디션 광고를 보고는 무작정 축제 본부로 찾아갔다. “쎄울, 꼬레아, 국제무용축제에서 일한다.”고 말하자, 유쾌한 멕시코 축제 사람들은 그 자리에서 심사를 같이하자고 제안했다. 얼떨결에 함께 하게 된 오디션에서 축제 심사위원들은 오디션 참가자들에게 열광적으로 환호하며 자리에서 일어나 노래면 노래, 춤이면 춤을 같이 즐기는 것이 아닌가. 한국식이라면

역사와 전통에서 싹튼 혁신적인 미술관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 아트렌즈 스튜디오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시 웨이드공원(Wade Park) 한가운데 웅장한 석조건물이 들어 서 있다. 이 건물은 미국 4대 미술관 중 하나로 꼽히는 클리블랜드미술관(Cleveland Museum of Art)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영원한 혜택을”(For the Benefit of All the People Forever)이라는 창립자의 뜻에 따라 1913년 재단법인이 설립되고, 1916년 미술관으로 정식 개관하였다. 클리블랜드미술관의 70개 전시실과 4만 5천여 점의 소장품은 6000년이 넘는 인류 역사를 아우른다. 클리블랜드미술관 100년의 경험이 만든 혁신적인 공간 클리블랜드미술관은 창립 초기부터 “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이 미술관의 중요한 역할임 강조했다. 초대 관장 프레데릭 알렌 휘팅(Frederic Allen

예술교육을 검색하고 발견하고 연결하는

시카고 예술교육정보 아카이브 ‘아트룩맵’과 전미예술교육길드의 ‘회원 디렉토리’

21세기에 들어서 미국에서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국가와 지역 차원에서 강조하는 것을 넘어 모든 이들에게 양질의 예술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실천하고 있다. 그중 시카고는 지역 예술교육의 문제를 인식하고 지역 내 박물관, 문화기관, 예술단체 200여 개와 시카고 지역 지도자, 공립학교 교장 및 교사와 지역 재단 및 기업이 모여 모든 공립학교에서 예술교육을 확대 실행하기 위한 계획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렇게 모인 다양한 주체들은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 2011년 ‘인제뉴이티’(Ingenuity, 창의력)를 출범하고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트룩맵 정보공유에서 출발하는 선순환 구조 인제뉴이티가 운영하는

예술교육 자산을 데이터베이스에 담다

미국 티칭 아티스트 길드

미국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양질의 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2014년 국립예술기금(NEA)의 ‘예술교육 전략’(Strategy plan for arts education), 2017년 ‘5년 연구 어젠다’(Five-year research agenda) 등 국가 정책과 연구를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차원의 전략과 정책, 연구와는 별개로 티칭 아티스트(Teaching Artists) 각자가 예술교육 현장에서 겪는 문제와 어려움은 다양하다. ‘미국 티칭 아티스트 길드’(National Teaching Artists Guild, 이하 TAG)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티칭 아티스트들이 크고 작은 사회변화를 이룰 수 있는 기술과 열정, 경험을 지녔다는 믿음 아래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고자 설립된 비영리단체이다. 2004년 설립된 TAG는

우리는 왜,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나

『티칭아티스트의 두 세계』가 제기하는 교육적‧예술적‧직업적 이슈

예술과 관련된 거의 대부분의 개념이 그러하듯, 티칭아티스트(Teaching Artist)의 개념 역시 경계를 넓혀가며 팽창 중이고, 그 범주와 역할에 대한 논의는 진행 중이다. 특히 무용과 연극분야는 (이 책이 쓰인 미국에서도) 학교 안팎 교육에서의 역할과 기여도에도 불구하고 “있으면 좋은” “기타의” 활동으로 여겨지며, 학문적 고찰 역시 소원하다. 이 책의 저자들은 미국 웨인주립대학의 무용, 연극과의 교수들이지만, 묶어낸 연구들은 현장 중심적이고 실증적이다. 학교 안팎 외에도 다양한 현장의 티칭아티스트 사례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구논문, 현장기록, 사례연구,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와 학문적 성찰을 담았다. 『티칭아티스트의 두 세계』 (메리 엘리자베스

생각을 나누고, 사람을 잇는
<2017 하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시작

– 문화예술교육자·기획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도록 참여 대상자 폭 넓혀 – – 창의적 예술교육, 해외전문가 연계등 80여 개의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마련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주성혜)은 지난 7월 17일(월)부터 8월 23일(수)까지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연수를 진행한다. 는 문화예술교육자‧기획자의 전문성 및 문화적 리더십 함양을 위해 대상별‧내용별‧장르별 연수 과정을 마련하고, 참가자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연수 프로그램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문화예술교육 분야 종사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도록 대상의 폭을 넓혀 2,149명의 상반기 연수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바 있으며, 하반기 연수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