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소식 [아르떼_전국] 2015년 예술강사 지원사업 학교 지원 신청 안내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는전국 17개 시도교육청 및 지자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6개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이하 ‘광역센터’) 및 국악운영단체와 협력하여「2015년도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등록일: 2014.09.29. · 댓글 : 0 · 조회수 2,331 2014.09.29.
국내소식 문화예술교육 정책, 새로운 생태계를 꿈꾸다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토론회 2005년 시작되어 꾸준히 성장해 온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이 내년이면 시행 10주년을 맞이합니다. 이제는 도약기를 넘어 성숙기를 준비해야 할 때가 되었는데요, 지난 12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마련된 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지난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점검해보는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의 지형변화를 그려보고 향후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에 요구되는 과제들이 무엇이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2014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10주년이 1년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2005년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꾸준히 성장해온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제도화를 통해 체계를 정립하고, 꾸준한 양적 성장으로 수혜자 수를 큰 폭으로 증가 시키는 성과를 가져왔다. 정책 등록일: 2014.01.08. · 댓글 : 0 · 조회수 4,742 2014.01.08.
해외소식 [호주] 이잘라얄라 프로젝트(YijalaYala Project) 호주의 비영리단체 빅하트(big hART)는 음악, 무용, 연극, 영화, 게임, 디지털 미디어 등을 활용하여, 지난 2010년부터 현재까지 예술장르 및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지역주민 참여형 예술과 예술교육 활동의 결과물을 웹사이트에 게재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등록일: 2014.08.14. · 댓글 : 0 · 조회수 2,827 2014.08.14.
이슈 학교 교사와 예술강사의 협업, 한 차원 높은 교육을 이루는 힘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인식이 향상되면서 문화예술과 교육의 두 영역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전문 예술강사’의 필요성 역시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예술강사가 처음부터 전문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갖추기란 쉽지 않습니다. 2014.08.11.
리포트 개인과 사회경제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확인을 위한 시도 존 듀이(John Dewey)는 그의 저서 〈경험으로서의 예술〉에서 예술교육의 목적을 예술경험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인간성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류윤호_정책연구팀 2014.08.11.
리포트 배움이 오롯이 가르침 되도록_제31차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2014 세계 문화예술교육주간에 서울, 전남(무안), 울산에서 열린 31차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은 청소년역량강화센터 측 강사들이 한국의 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 관계자들과 함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이다현_국제교류팀 2014.07.14.
이슈 ‘지역 문화예술교육과 문화복지 발전 방향’ 전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전남문화예술재단 설립 5주년을 맞이하여 6월 14일 ~ 18일 기간 동안 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를 마련하였다. 이 행사의 일환으로 6월 17일에 진행한 ‘2014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네트워크 포럼’은 ‘지역 문화예술교육과 문화복지 발전 방향’이라는 주제 아래 2개의 구체적인 발표가 이뤄졌다. 2014.07.07.
인터뷰 예술강사 만남의 날을 통해 나누고 싶었던 이야기 5월 21일, 문화역284 RTO에서 열린 〈2014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프로그램 「예술강사 만남의 날」 참여를 위해 전국 각지의 예술강사들이 모였다. 이날 호주 퀸즐랜드 대학 교수이자 제2회 예술강사 컨퍼런스 공동의장인 브래드 해스만(Brad Haseman)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예술강사들간의 주제 발표와 세션별 모임을 가졌다. 2014.06.09.
국내소식 [아르떼_전국]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에게 듣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5년부터 전국 초•중•고교에 전문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소규모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예술꽃씨앗학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등록일: 2014.06.09. · 댓글 : 0 · 조회수 1,961 2014.06.09.
인터뷰 예강이의 꿈같은 하루 모처럼 예술강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을 맞아 예술강사들의 일상을 공유하는 행사가 마련된 것. 세 명의 예술강사가 기획한 ‘예강이의 꿈같은 하루’는 일상이라는 키워드를 ‘여가, 쉼, 미래’로 확장해 각자의 이야기를 담았다. 2014.05.30.
국내소식 [강원] 예술강사 미니 컨퍼런스 개최 지난 5월 24일, 강원도 원주에서 예술강사 미니 컨퍼런스 〈토닥토닥 ‘사이’〉가 열렸다. 컨퍼런스에 참석한 예술강사와 학생, 예술강사와 학교 교사들, 예술강사와 실무자, 그리고 예술과 나와의 사이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등록일: 2014.05.30. · 댓글 : 0 · 조회수 2,343 2014.05.30.
리포트 [해외 리포트] 국외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기념행사 소식 대한민국 정부의 주도로 유네스코 총회에서 선포된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한국에서는 올해 일반시민 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전문가 토론회 등을 준비하였는데요 2014.05.30.
국내소식 [아르떼] 내 몸으로, 내 손으로 나타내다 2005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학업에 대한 낮은 흥미, 평가 위주의 교육 등 학교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국 초•중•고에 전문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등록일: 2014.05.30. · 댓글 : 0 · 조회수 1,640 2014.05.30.
인터뷰 변정원 강사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창작극 수업 -서울 중원중학교 ‘인생 최고의 비밀’이 담긴 책 〈비밀 엽서〉를 바탕으로 변정원 강사의 창작극 수업은 진행됐다. 뮤지컬 동아리에서 진행하는 수업 중 한 과정인 이 창작극 수업을 토대로 아이들은 연말에 공연할 창작 뮤지컬의 대본을 만들게 된다. 2014.05.26.
이슈 우리들의 쉼터 ‘욕쾌 상쾌 통쾌’ 내 이야기를 들어달라고 소리지르고 싶을 때가 있다. 나도 가르치는 선생이라고 받아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리고 나 또한 쉽게 상처받고 여린 가슴을 지닌 하나의 인간이라고 말하고 싶을 때가 있다. 2014.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