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디자인'

최신기사

문제해결로서의 교육과 방법적 혁신

바우하우스의 교육적 의미

문제해결로서의 교육 삶은 문제해결의 과정이다. 개인과 사회, 그리고 시대는 모두 자신의 문제를 안고 있다. 개인이든 사회든 자신의 문제를 잘 파악하고 해결해나가는 것이 좋은 삶의 조건임은 말할 것도 없다. 그렇게 보면 사실 교육도 문제해결을 위한 수단이다. 교육은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주기 때문이다. 그를 통해 교육은 주체를 변화시킨다. 교육 이전과 이후의 주체는 달라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교육이라 할 수 없다. 우리가 교육을 통해서 기대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에 의한 주체의 변화이기 때문이다. 물론 무엇이 문제이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능력이 무엇인가에 대한

예술적 혁신을 모색하는 길찾기

[해외리포트] 미국·일본 예술 전공 대학의 새로운 시도

“혁신(innovation)”. 최근 십 수년간 기업체의 경영전략 혹은 자기계발 분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말이 되었지만, 혁신은 아방가르드 예술의 대전제이기도 하다. 스티브 잡스를 필두로 하는 수많은 기업인이 혁신을 부르짖으며 예술을 언급하는 이유다.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 주위를 둘러싸는 첨단 기술양식 곳곳에 예술이 스며들고 있음을 생각할 때,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해야 할 대학에서의 예술교육은 어떻게 변화될 수 있을까? 사회적 변화에 발맞추어 고등 예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해외 예술대학의 사례를 살펴본다. 사회문제 해결에 초점 맞춘 전공 개설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武藏野美術大學)은 올해 4월

2019 서울국제핸드 메이드페어 제3회 서울핸드메이드포럼

2019 서울국제핸드메이드페어가 5월 16일(목)부터 19일(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다. 핸드메이드 트랜드와 산업 발전을 볼 수 있는 다양한 행사와 함께 담론, 정책제안, 연구 등 학습과 논의의 장으로 ‘서울핸드메이드포럼’이 열린다 올해로 3회를 맞은 서울핸드메이드포럼에서는 두 가지 주제를 다룬 포럼이 열린다. 5월 17일(금)에는 ‘수제작(핸드메이드)과 리터러시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제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광석 교수의 기조발제와, 생활기술과놀이멋짓연구소 김성원 소장, 릴리쿰 호랑, 여성기술랩 전유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은기·신현우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5월 18일(토)에는 바우하우스 100주년 기념 심포지엄으로 ‘모던 디자인의 산실, 바우하우스의 공방’이라는 제목으로 바우하우스 공방의 성격과 의미, 바우하우스의 금속공방·직조공방·인쇄공방에 대하여 디자인평론가 최범,

청소년이 중심이 되는 차세대 융합 인재 교육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 아트랩플러스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스미소니언박물관은 1846년 영국인 과학자 제임스 스미손(James Smithson)의 기부로 설립되었다.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종합박물관으로 국립자연사박물관 국립역사기술박물관, 국립항공우주박물관, 국립동물원 등을 비롯해 19개의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 모든 분야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기술 습득부터 창작까지 스미소니언박물관 내 19개 공간 중 현대미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허시혼미술관(Hirshhorn Museum)은 ‘아트랩플러스(ARTLAB+)’ 운영을 통해 차세대 혁신가, 예술가를 꿈꾸는 13세에서 19세 사이 청소년에게 필수적인 과학적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방과 후 교육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아트랩플러스는 미디어, 비디오 등의 디지털아트, 3D 프린터 등 최신기술을 예술과 접목한 STEAM(Science[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