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기록'

최신기사

맥락을 기억하고 해석하고 활용하기

문화예술교육과 기록

과정을 중요시하는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기록의 생산과 관리, 공유의 필요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고, 기록 활동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아카이브(Archive)’는 개인이나 조직이 활동하며 남기는 수많은 기록물 중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하여 보관하는 장소 또는 그 기록물 자체를 이르는 용어이다. 기록을 보존하는 장소로서의 아카이브로는 국가기록원처럼 나라의 행정 기록을 중심으로 수집과 보존을 통해 역사자료관의 역할을 중요하게 담당하는 곳이 있는 반면, 아르코예술기록원처럼 예술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보존하여 예술창작과 연구,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예술 전문 아카이브도 있다. 이러한 아카이브의

당사자로서,
말하고 기록하고 실천하다

편집위원이 만나다④ 문화기획달 활동가 자정·이리

2014년부터 전북 남원시 산내면, 지리산 자락 아래에서 “삶을 예술로, 예술을 일상으로”라는 슬로건 하에 문화예술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여성주의 문화단체 문화기획달. 이들은 마을 농촌여성들과 함께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문화예술을 통해 새롭게 바라보고, 세상의 변화를 위한 예술행동을 적극 실천하고 있어 주목된다. 문화기획달은 달리, 이리, 자정 등 세 명의 활동가가 함께 이끌고 있다. 그중 자정(그림지기)과 이리(행동지기), 두 활동가를 만나 이들이 젠더적 관점에서 세상의 불편함을 예술을 통해 말하기 시작한 계기, 그리고 지역에서의 이들의 활동이 마주하는 다양한 도전과 의미를 들어보았다. 최근 ‘문화다움기획상131’을 수상하게 되면서

주변부라고? 여기가 중심이다!

지역과 골목을 기록하는 잡지

서울공화국이라는 말이 있듯 대중매체에는 온통 서울의 이야기로 가득하다. 서울은 블랙홀처럼 사람과 문화 등 모든 자원을 집어삼키고 그 이외의 지역은 주변부가 된다. 하지만 서울이 아닌 곳에도 사람이 있고 이야기가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찾아 나서는 지역 잡지들이 있다. 동네의 골목에, 옆집 이웃에, 오래된 건물에 있는 이야기를 발굴하며 지역 상생을 꿈꾸는 잡지들을 소개해본다. [전라도닷컴] 7월호 [월간토마토] 8월호 “혼자 말고 항꾸네 잘 사는 세상을 꿈꿉니다” [전라도닷컴]의 이 구수한 매체 소개는 소박하지만 원대한 바람을 담고 있다. ‘항꾸네’는 ‘함께’라는 의미의 전라도 사투리다. 모든 지역의 이름

2018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 ‘청춘문화 VJ’ 참여자 모집

세종시문화재단은 나와 이웃, 지역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기록하고 다큐멘터리로 만드는 지역문화 영상제작 프로그램인 2018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 ‘청춘문화 VJ’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모집 대상은 만 50~64세 사이의 세종시민 25명이며, 9월 11일(화)부터 12월 13일(목)까지 한국영상대학교에서 주 2회씩 총 25회차 교육이 진행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관심 가는 주제를 발견하는 기본과정과 이야기를 구상하고, 기록하며 만들어가는 확장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석률이 70% 이상인 참여자에게는 수료증이 발급된다. 참가신청은 9월 2일(일)까지 세종시 문화재단 홈페이지에서 참가 신청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 작성 후 이메일(sehee@sjcf.or.kr)로 보내거나, 세종시 문화재단 2층 문화예술교육팀으로 우편 및 방문제출을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