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지역]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아르떼] 2015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단원 변화 분석 기초 연구 연구수행 단체 공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단원의 예술적·교육적 변화 내용 및 요인을 탐색할 수 있는 정량적·정성적 분석방법을 개발 및 시범 적용하기 위해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단원 변화 분석 기초 연구’를 수행할 연구단체를 공모한다.

[경북] 2015 경북 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양성과정 ‘생각을 짓다’ 참여안내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는 오는 11월 경북 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양성과정 ‘생각을 짓다’를 개최한다. 11월 4일(수)부터 12일(목) 중 총 두 차례에 걸쳐 개최되는 이번 양성과정은 문화예술교육에 첫 발을 내딛는 이들을 위한 과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이해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진행된다.

[대구] 2015 문화예술기반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세미나 개최 안내

대구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 주한미국대사관은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견인할 네트워크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 ‘2015 문화예술기반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한다. 한미 양국 간 문화교류,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시키고자 열리는 이번 행사는 10월 27일(화)부터 28일(수)까지 양일간 대구문화예술발전소 3층에서 진행된다. 양국 문화예술교육 소개 및 사례발표, 교사모임, 재교육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는 이번 행사는 교사(전국), 문화예술기관(단체) 관계자, 예술강사, 예술가, 시민 등을 대상으로 한다.

[인천] 인천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포럼 ‘별빛살롱-내가 사는 곳이 곧 예술 하는 곳’에 초대합니다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매월 문화예술교육을 주제로 하는 네트워크 포럼 ‘별빛살롱’을 개최한다. 서로의 생각과 활동을 공유하고, 협력관계를 만들 수 있는 열린 모임 ‘별빛살롱’은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부산]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문화예술교육축제 ‘여기가 꿈지!’ 행사 안내

부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 33개 운영단체 및 부산지역 내 35개의 문화예술교육 단체와 함께 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체험-학습-향유할 수 있는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문화예술교육축제 ‘여기가 꿈지!’를 개최한다. 2015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아동·청소년과 가족이 다양한 문화예술과 함께 놀고 체험하고 소통할 수 있는 토요일, 문화예술교육 공간이다.

[강원] 2015 강원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문화路 예술路’ 참가자 모집 안내

강원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2014년에 이어 올해도 타 지역 문화예술교육현장 탐방을 실시한다. ‘길 위에서 배우는 문화예술교육, 문화路(로) 예술路(로)’는 신규 사업콘텐츠 개발과 문화예술교육관련 기관·단체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기획되었다. 충북지역(공주, 부여)과 전북지역(군산, 전주) 문화예술교육단체 간담회와 지역문화유산 탐방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경남] 2015 문화예술교육축제, 예술강사 네트워킹 워크숍 ‘예강예풍’ 참가자 모집

경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는 오는 10월 30일(금) 2015 문화예술교육축제, 예술강사 네트워킹 워크숍 ‘예강예풍’을 개최한다. ‘예강예풍’은 2015 경남지역에서 활동하는 8개 분야 예술강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각 분야별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생생한 현장경험 사례를 공유하고,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예술강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하는 네트워킹 워크숍이다.

[아르떼] 「2015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해외탐방조사」 참가자 공모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국내 문화예술교육 인력 대상 해외탐방조사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사업은 해외 문화예술교육 포럼, 심포지엄 및 교육 현장 탐방을 통해 교육내용 및 교수법 관련 역량을 강화하고 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및 기관과의 교류를 확대하고, 그 경험을 국내 관계자들과 공유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아르떼] 제35차 아르떼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참가신청 안내

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들을 국내에 초청하여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방법론과 사례를 공유하는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제35차 프로그램이 오는 10월 19일부터 23일 중 서울과 울산에서 각각 이틀간 진행된다. 이번 프로그램은 호주의 비영리단체 빅하트(Big hArt)를 초청하여 ‘지역사회 이야기를 예술로 담다 – 문화예술과 사회변화’를 주제로 이틀에 걸쳐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커뮤니티 기반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및 기획실습 워크숍을 진행하게 된다. 해외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적 맥락에 맞는 프로젝트를 기획・실습할 예정이다.

[인천] 2015 지역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양성과정 “그로잉-업” 현장 전문가 특강 안내

인천문화재단 인천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2015 지역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양성과정 ‘그로잉-업(Growing-Up)’ 기획과정 중 현장 전문가 특강 참여자를 모집한다. ‘그로잉-업’은 문화예술교육을 지역의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과정을 통해 장소성에 기반을 둔 문화예술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고자 하는 예술교육자, 교육에 관심 있는 예술가, 청년기획자를 위한 교육과정이다.

[경북] 2015 경북문화예술교육의 날 ‘모여라, 꿈다락’ 안내

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시선의 폭을 넓히고, 꿈다락 운영기관 및 지역주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2015 경북문화예술교육의 날 ‘모여라, 꿈다락’을 개최한다. 2015년 10월 17일(토) 오후 2시 금수문화예술마을(경북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 열리는 이번 행사는 경북지역 꿈다락 친구들이 만드는 축제로 경북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22개 운영기관 및 단체, 학생과 학부모, 지역주민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유럽] 글로벌연극경험 국제대학 국제 공연예술 캠프 및 컨퍼런스 개최

글로벌연극경험 국제대학(International University for Global Theatre Experience, IUGTE)은 2015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 국제공연예술 캠프(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Camp)와 국제 컨퍼런스 ‘전통과 현대사이의 극장’(International Conference ‘Theatre Between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을 개최한다.

[아르떼] 2015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 3차 공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교육기관이 보유한 인적자원 및 특성을 바탕으로 학교 밖 토요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고 신규 문화예술교육사에게 다양한 현장경험을 제공하여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2015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예술교육이 바뀐다’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호주] 아츠 러닝 포럼 개최

호주 예술위원회(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에서 매년 개최하는 ‘아츠 러닝 포럼(Arts Learning Forum)’이 2015년 11월 25일부터 27일까지 호주 멜버른 푸츠크레이 커뮤니티 아트센터(Footscray Community Arts Centre)에서 열린다. ‘아츠 러닝 포럼’은 모든 예술 형식, 연령, 지역을 넘어 학습이나 참여, 예술교육에 관심이나 전문성을 가진 예술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매년 3일간 개최된다. 올해 주제는 ‘문화예술로 풍요로워지는 일상의 배움(Infuse Everyday Learning with Arts and Culture)’이다. 이 포럼은 예술교육(arts learning)에 대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접근과 해석을 통해 장르, 교육 대상의 연령 및 배경을 아우르는 예술교육 실행의 전략적 비전,

[경기] 2015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대외 협력 네트워크 ‘경기도넛’을 시작하다

경기문화재단(대표 조창희) 경기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도내 인적・내용적 자원의 폭넓은 공유와 효율적 활용을 위해 유관 영역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프로그램 ‘경기도넛’을 운영한다.
경기도넛은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기획사업(자율학습모임, 웹진) 지원사업(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운영에 있어 실무자와 참여자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될 만한 발전 방향 제시하는 프로그램으로 각 사업마다 방담회, 아이디어 회의, 자문회의, 업무협의 등의 형식으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