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예술강사'

최신기사

2018 충북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건강진단

(재)충북문화재단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 43조(건강진단)에 의거하여 학교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2018년도 건강진단을 실시한다. 검진 대상은 7월 초에 실시한 설문조사에 검진 희망 신청을 한 충북지역 학교 예술강사 233명이며, 검진 기간은 9월 30일(일)까지이다. 검진병원은 건강관리협회(충북세종지부), 청주의료원, 청주 한국병원, 효성병원, 충주의료원 중 검진 응답한 곳에서 받으면 되고, 건강진단 미실시자의 경우 관계 법령에 의해 과태료가 부과된다. 건강진단 실시 면제 대상자의 경우 구비서류를 9월 30일(일)까지 이메일(lovedearly@cbfc.or.kr)이나 등기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관련링크] 2018 충북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건강진단 안내

<2018 하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전국 다양한 공간에서 시작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양현미, 이하 교육진흥원)은 7월 19일(목)부터 8월 25일(토)까지 수도권 및 부산, 충청 등 전국에서 연수를 진행한다. 하반기 아르떼 아카데미는 전국적으로 참여기회를 확대하고자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문화예술 거점공간에서도 연수를 진행한다. 나아가 다각적인 공간 활용 및 실제 현장 답사를 통해 보다 생생하게 교육 내용을 전달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예정이다. 약 180여 명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58개 프로그램이 채워질 예정이며, 대상별 연수, 주제 특화 및 심화 연수, 유관기관 협력형 연수로 나누어 진행된다. 연수 대상별 맞춤형, 체계적 교육을

울산문화재단 2018 예술강사 지원사업 <아트데이 프로젝트> 기획사업 공모

(재)울산문화재단에서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새로운 사업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2018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기획사업을 공모한다. 2~3개 단체, 10개 내외 학교를 선정, 총 6,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트데이 프로젝트> 운영은 사업기간인 9월부터 12월 중 한 단체 당 4~6개교를 방문해 1개교 당 1개의 콘셉트 아래 최소 6개 문화예술교육(체험, 놀이, 공연 등) 프로그램을 수행하면 된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10개교 내외, 각 학교별 최대 100명 내외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교육강사는 문화예술교육단체 및 예술단체 소속 예술인(예술강사 활용 권장)으로 하위 프로그램 하나 당 주·보조강사 최소 3명으로

2018 하반기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연수 과정 참여자 모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연수센터는 2018 하반기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참여자를 모집한다. 이번 연수과정은 예술 활동의 즐거움과 몰입을 경험하고 예술교육에 대한 내 안의 원동력을 이끌어 내고, 예술 장르의 경계, 구분 없이 다양한 예술경험을 통해 감각을 깨우고 새로운 발상을 촉진하는 과정이다. 연수 과정을 통해 교육자로서 예술가인 자신을 성찰함으로서 창의적 교육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수는 강원, 인천, 서울(2회), 충북, 부산 5개 지역에서 2박 3일간 개별 과정으로 진행되며 지역별로 18~25명의 참가자를 모집한다. 지역별 연수 일정은 아래와 같다. 지역 과정명 일정 장소 정원 강원

문화예술교육 속 매개의 역할과 가치에 주목해야

문화예술교육, 사람과 일을 말하다

국내 현장 곳곳에는 문화예술교육 정책 안팎으로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가 펼쳐지고 있다. 근린 문화기획자로, 예술강사로, 예술가로, 단체 경영자로 활발히 활동하는 네 명의 전문가와 함께 문화예술계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 ‘어떻게 일하는지’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에 대해 개인과 동료, 현장의 이야기를 허심탄회하게 나눠보았다. 기획좌담 개요 • 주 제 : 문화예술교육, 사람과 일을 말하다 • 일 시 : 2018년 5월 14일(월) 15시 • 장 소 : 프라그로 다이너 • 참석자 : 정민룡(광주 북구문화의집 관장/좌장), 조선화(예술강사), 이미화(이웃상회 대표, 작가), 이창원((사)인디053 대표) 정민룡

어디서나 자유롭게, 누구나 체계적으로

예술강사를 위한 온라인 전문가 학습 ‘예술교육의 기초’

지난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성공한 온라인 학습 플랫폼 중 하나인 카덴저(Kadenze)는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4년의 노력 끝에, 카덴저 에서 ‘예술교육의 기초’(The Basics of Teaching Artistry)를 선보입니다. 카덴저 아카데미는 3개 주요 공연예술 기관, 링컨센터 에듀케이션(Lincoln Center Education),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Sydney Opera House)와 협력하여, 총 4개의 강좌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자신의 예술 활동을 발전시켜 교육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회에 도움이 되길 원하는 예술가와 창작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이는 전 세계의 예술가와 창작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예술을 통한 사회 참여 기반의 활동을 희망하는 이들을 위하여 만들어 졌습니다.

예술교육 자산을 데이터베이스에 담다

미국 티칭 아티스트 길드

미국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양질의 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2014년 국립예술기금(NEA)의 ‘예술교육 전략’(Strategy plan for arts education), 2017년 ‘5년 연구 어젠다’(Five-year research agenda) 등 국가 정책과 연구를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차원의 전략과 정책, 연구와는 별개로 티칭 아티스트(Teaching Artists) 각자가 예술교육 현장에서 겪는 문제와 어려움은 다양하다. ‘미국 티칭 아티스트 길드’(National Teaching Artists Guild, 이하 TAG)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티칭 아티스트들이 크고 작은 사회변화를 이룰 수 있는 기술과 열정, 경험을 지녔다는 믿음 아래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고자 설립된 비영리단체이다. 2004년 설립된 TAG는

우리는 왜,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나

『티칭아티스트의 두 세계』가 제기하는 교육적‧예술적‧직업적 이슈

예술과 관련된 거의 대부분의 개념이 그러하듯, 티칭아티스트(Teaching Artist)의 개념 역시 경계를 넓혀가며 팽창 중이고, 그 범주와 역할에 대한 논의는 진행 중이다. 특히 무용과 연극분야는 (이 책이 쓰인 미국에서도) 학교 안팎 교육에서의 역할과 기여도에도 불구하고 “있으면 좋은” “기타의” 활동으로 여겨지며, 학문적 고찰 역시 소원하다. 이 책의 저자들은 미국 웨인주립대학의 무용, 연극과의 교수들이지만, 묶어낸 연구들은 현장 중심적이고 실증적이다. 학교 안팎 외에도 다양한 현장의 티칭아티스트 사례를 포함하고 있으며 연구논문, 현장기록, 사례연구,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와 학문적 성찰을 담았다. 『티칭아티스트의 두 세계』 (메리 엘리자베스

동심 담은 노래로 완성하는 버스 속 모험

2017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예술버스 <좀비 버스터즈 미디어밴드>

알록달록 경쾌하게 외관을 꾸민 버스가 매해 여름이면 전국 곳곳을 누비며 직접 찾아가는 예술교육을 전한다.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움직이는 예술정거장’은 버스나 트럭, 선박 등을 체험공간으로 꾸며 도서 산간이나 농어촌 등 상대적으로 문화적 기반이 취약한 지역을 찾아가, 아동과 어르신을 대상으로 다양한 예술 활동을 즐기고 누리는 기회를 제공한다. 올해는 총 6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그 중 하나인 어반 아츠 프로젝트(Urban arts project)팀의 <좀비 버스터즈 미디어밴드>가 지난 6월 29일 전남 영광에 도착했다. 오전에는 홍농서초등학교 친구들이, 오후에는 초록디딤돌 지역아동센터 친구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 유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