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흐름과 현장, 연구자료를 소개합니다.

칠레 곳곳에서 만나는 ‘다름의 표현’

칠레 제6회 예술교육 주간행사

매년 5월 넷째 주, 세계 각국에서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린다. 올해 한국에서는 5월 23일부터 27일까지 5일간 문화비축기지에서 ‘4차 산업혁명,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을 주제로 ‘제7회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를 개최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관한 이번 주간행사는 국제심포지엄, 문화예술교육 워크숍, 문화예술교육 해커톤, 유관학회 세미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칠레에서는 5월 14일부터 18일까지 칠레 정부(교육부, 문화유산·예술부)와 유네스코, 칠레대학교, 예술단체 ‘발마세다 어린이 예술원(Balmaceda Arte Joven)’이 공동으로 ‘제6회 예술교육 주간행사(VI Semana de la Educacion Artistica, SEA)’를 개최했다. 칠레 주간행사의 특징은

학습자 중심, 제작을 통한 학습

미국 라이트하우스 커뮤니티 공립학교 창의력 연구소

메이킹(making) 또는 메이커 중심 학습(maker-centered learning)은 실습, 학생 중심 학습을 의미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생각해 낸 질문을 탐구하고, 실제 문제에 학습한 것을 적용하고, 자료를 실험하고 관찰한 내용을 제작 중심 수업에 반영함으로써 더 심층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미국에는 이러한 메이커 기반 커리큘럼을 실행하는 학교가 많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커리큘럼을 운영하는 학교는 주로 실리콘밸리 근처의 사립학교이며, 혜택을 받는 것은 부유층 자녀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미국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 위치한 라이트하우스 커뮤니티 공립학교에서 운영하는 ‘창의력 연구소(Creativity Lab)’는 조금 다르다. 학생의 90%가 흑인과 라틴아메리카계로 84%가 무료급식이 필요한 빈곤층

청소년이 중심이 되는 차세대 융합 인재 교육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 아트랩플러스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한 스미소니언박물관은 1846년 영국인 과학자 제임스 스미손(James Smithson)의 기부로 설립되었다.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종합박물관으로 국립자연사박물관 국립역사기술박물관, 국립항공우주박물관, 국립동물원 등을 비롯해 19개의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 모든 분야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기술 습득부터 창작까지 스미소니언박물관 내 19개 공간 중 현대미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허시혼미술관(Hirshhorn Museum)은 ‘아트랩플러스(ARTLAB+)’ 운영을 통해 차세대 혁신가, 예술가를 꿈꾸는 13세에서 19세 사이 청소년에게 필수적인 과학적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방과 후 교육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아트랩플러스는 미디어, 비디오 등의 디지털아트, 3D 프린터 등 최신기술을 예술과 접목한 STEAM(Science[과학],

예술적 상상을 실험하는 하이브리드 공간

영국 ‘상상력연구소’

실험실, 스튜디오, 갤러리, 과학 센터 및 박물관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각 공간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의 목적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는 모두 다르다. 실험실에서는 실험을, 스튜디오에서는 창작을, 갤러리와 박물관에서는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이 공간들이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된다면 어떤 공간이 탄생할까? 상상력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공간 위에 나열한 공간들의 특징을 융합하여 새로운 개념의 공간으로 탄생한 곳이 있다. 2011년 설립된 ‘상상력연구소(Institute of Imagination)’가 바로 그곳이다. 상상력연구소는 전신이었던 어린이박물관(The Children’s Museum)이 아이들의 무한한 상상력과 호기심을 구현할 수 있는 시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또한,

새로운 기술로 구현하는 예술적 아이디어

기술을 활용하는 예술가들 - 팀랩, 퍼베이시브 미디어 스튜디오

2001년 도쿄에서 출범한 ‘팀랩’(teamLab)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예술가가 모여 결성한 디지털 예술단체이다. 예술가, 프로그래머, 엔지니어, CG 애니메이터, 수학자, 건축가 등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Ultra-technologists)’로 구성된 팀랩은 공동창작 활동을 통해 예술, 과학, 기술과 창조성의 경계를 뛰어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놀자! 천재들의 프로그래밍 꼬마요정이 살고 있는 음악의 벽 내손으로 만드는 애니메이션 팀랩은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과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기술, 3D 애니메이션, 360도 디지털 이미지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기술을 예술에 접목한 ‘디지털 인터랙티브 아트’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트 전시뿐만 아니라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장소의 제약을 넘어 박물관이 제공하는 특별한 경험

미국 샌디에이고 항공우주박물관 ‘뮤지엄 앳 유어 핑거팁’ 프로젝트

미래 예술은 창작, 유통, 소비, 교육, 활용 등 모든 면에서 지금과는 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미 예술과 기술의 융합으로 인공지능이 창작하고, 기계의 도움으로 장애를 극복하는 사례는 낯설지 않다. 기술과 다른 영역의 융합은 인간의 고유영역으로 여겨지던 창작 활동이나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미국 샌디에이고 항공우주박물관(San Diego Air and Space Museum, SDASM, 이하 항공우주박물관)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박물관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단순히 전시 관람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도슨트와 함께하는 투어프로그램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새로운

예술교육을 검색하고 발견하고 연결하는

시카고 예술교육정보 아카이브 ‘아트룩맵’과 전미예술교육길드의 ‘회원 디렉토리’

21세기에 들어서 미국에서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국가와 지역 차원에서 강조하는 것을 넘어 모든 이들에게 양질의 예술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실천하고 있다. 그중 시카고는 지역 예술교육의 문제를 인식하고 지역 내 박물관, 문화기관, 예술단체 200여 개와 시카고 지역 지도자, 공립학교 교장 및 교사와 지역 재단 및 기업이 모여 모든 공립학교에서 예술교육을 확대 실행하기 위한 계획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렇게 모인 다양한 주체들은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 2011년 ‘인제뉴이티’(Ingenuity, 창의력)를 출범하고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트룩맵 정보공유에서 출발하는 선순환 구조 인제뉴이티가 운영하는

예술교육 자산을 데이터베이스에 담다

미국 티칭 아티스트 길드

미국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양질의 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2014년 국립예술기금(NEA)의 ‘예술교육 전략’(Strategy plan for arts education), 2017년 ‘5년 연구 어젠다’(Five-year research agenda) 등 국가 정책과 연구를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차원의 전략과 정책, 연구와는 별개로 티칭 아티스트(Teaching Artists) 각자가 예술교육 현장에서 겪는 문제와 어려움은 다양하다. ‘미국 티칭 아티스트 길드’(National Teaching Artists Guild, 이하 TAG)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티칭 아티스트들이 크고 작은 사회변화를 이룰 수 있는 기술과 열정, 경험을 지녔다는 믿음 아래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고자 설립된 비영리단체이다. 2004년 설립된 TAG는

문화예술교육 정보공유·소통의 장을 향한 한걸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보관 일반인 개방 예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의 자원공유를 위해 8월 중 진흥원 내부 정보관(A.Library)을 일반 시민들과 문화예술교육 분야 종사자 및 관련 전공 대학생 등에게 개방하고자 한다. 지난 2016년 8월에 시범 개관한 정보관은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서적, 저널, 연구 보고서, 사업 자료집 등 다양한 전문 자료 수집과 데이터화, 공간조성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관계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자료를 공유하기 위한 준비를 계속해오고 있다. 정보관은 문화예술교육을 주제로 한 전문 도서관을 콘셉트로 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국내·외 서적들을 포함하여 교과서 및 인문, 교양도서 등 3,700여권의 단행도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3,500여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변화 연구

개인의 변화를 넘어 가정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변화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진행하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장기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3년 종단연구 설계를 수립하여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아동과 가족 및 교육강사 등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하여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자, 가정, 지역사회 등에 미치는 개인적·사회적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층 인터뷰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효과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3개년 연구 계획   신뢰성·타당성 확보한 측정 도구 개발 및 표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