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 9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체험 이제 문화예술은 작가의 작품을 단순히 보고, 만지고, 느끼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람객이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작가와 함께 작품을 완성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여기 몇 가지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당신의 자리를 비워두고, 당신을 기다리고 있는 프로그램들이다. 2014.09.15.
아이디어 애니메이터와 교육자의 만남, Fun한 정보 공유의 플랫폼이 되다 교육자라면 누구나 하는 고민이 있다. 바로 ‘효과적이며 흥미로운 수업 방식’이다. 전문 교육자, 시나리오 작가, 애니메이터가 협업한 TEDed는 그 고민을 덜어준다. 흥미로운 주제와 눈과 귀를 사로잡는 애니메이션으로 가치 있는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2014.09.01.
아이디어 Fun – A – Day 브룩클린의 젊은 주민들은 수요일 저녁, Bedford-Stuyvesant의 바에 모여 ‘Fun-a-Day’ 행사를 즐긴다. 이 행사의 주인공은 주민들 자신이다. 직접 그린 그림, 사진 등을 전시하거나 노래를 하고, 시 낭독을 한다. 일종의 아트 쇼일까? 아니다. 그것과는 다르다. 2014.08.25.
아이디어 8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체험 입추가 지나고,부쩍 공기가 선선해졌다.더위가 한 풀 꺾이면,인공적인 바람을 벗어나 맑은 공기를 한껏 마시고 싶어진다. 모처럼의 나들이라면 공연이나 전시를 관람하면서 몸과 마음에 가을의 감성으로 환기 시켜 주자. ‘문화가 있는 날’이 있는 8월 마지막 주를 맞아 지쳤던 일상을 색다르게 인식할 몇 가지 전시를 소개한다. 2014.08.18.
아이디어 이웃과 함께 하는 색다른 토요일 더 나은 삶을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회사 ‘GOOD 커뮤니티’는 이러한 상황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이웃과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하며 적극적으로 이웃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방법을 찾아 나서기 시작하였다. 2014.08.05.
아이디어 우리는 집에서 탐험한다! 부모와 자녀간의 놀이는 일상적일 수밖에 없다.집에서 함께 하는 놀이는 공간과 도구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부모의 입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할 수 있고,아이들도 재미있어 할만한 놀이를 찾는 일이 생각처럼 쉽지않다. 이 까다로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웹사이트가 있다. 바로’Let’s Explore!(탐험에 나서볼까!)’이다. 2014.07.28.
아이디어 7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체험 여름이 깊어지고 나면 금세 여름방학, 여름휴가가 시작된다. 아이들도 어른들도 놀 거리, 볼거리, 즐길 거리가 풍부한 곳을 찾아 평소보다 자주 전시장과 공연장을 찾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여기에 교육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2014.07.21.
아이디어 1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하는 즐기는 문화예술체험 추위가 절정으로 치닫는 요즘, 집을 벗어나려면 적잖은 용기가 필요하다. 그렇다고 무작정 집 안에서만 보낼 수도 없는 노릇이고. 모처럼 외출 의지를 솟게 하는 전시들이 있다. 고요한 공간에서 타박타박 한 바퀴 돌고 나오는 것이 전부가 아닌, 작가의 작품을 감상하고, 그곳에서 받은 영감을 직접 체험해보는 프로그램들이다. 2015.01.26.
아이디어 내가 만드는 얼음, 얼음이 그리는 그림 물이 얼면 얼음이 됩니다. 참 당연한 사실이지만, 이 사실을 처음 접하는 아이들에게는 신비하고 놀라운 자연의 가르침이 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이 얼음으로 재미있는 놀이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아이들은 얼마나 흥분할까요? 2015.01.19.
아이디어 숨겨진 세계를 만나다 사람들이 현미경을 통해 미생물의 세계를 관측하기 시작한 1600년대 이전까지 미생물의 세계는 무지의 영역이었습니다. 그리고 ‘현미경 사진’이 등장하기 전까지, 관찰한 미생물의 모습을 손으로 그려 시각화할 수밖에 없었는데, 스케일 프리 네트워크(SFN, Scale Free Network)는 바로 이 점에 착안한 프로젝트를 고안해냅니다. 2015.01.12.
아이디어 낱말 놀이, 한 편의 시가 되다 보드라운 말들이 따스한 손길처럼 느껴진다면 그것이 시인 거죠. 일상의 단어를 모아도 한 편의 시가 될 수 있어요. 예술은 재미있게 노는 과정에서 발견하게 되는 진주 알 같은 것이죠. 2014년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맞아 ‘말’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2014.06.23.
아이디어 12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체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기록’이란 ‘주로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우리가 조선시대를 되살려 재현할 수 있는 것도 당시에 남긴 선조들의 기록이 있기 때문이고, 비뚤비뚤하게 그린 그림일기를 보며 어린 시절을 떠올릴 수 있는 것도 내가 그 순간을 남겨놓은 덕분이다. 2014.12.15.
아이디어 자연에서 얻은 자연스런 상상력 무언가 상상하고 떠올리고 만들고 그리는 문화예술 활동에서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소재는 ‘자연’이지요. 여기에 아주 작은 상상력만 더해도 훌륭한 창작물이 탄생합니다. 계절의 변화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소재가 바로 ‘나뭇잎’이 아닐까요? 2014.12.08.
아이디어 거리는 우리의 캔버스 스트리트 아트, ‘거리 미술’의 출발점은 어디일까요? 이 점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심지어 고대 동굴벽화나 이집트 시대의 벽에 그려진 낙서도 스트리트 아트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견도 있을 수 있으니까요. 스트리트 아트의본격적인 출발점은 러시아 혁명 이후 번성한 선전미술이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2014.12.01.
아이디어 ‘뻔’한 지식을 ‘펀(Fun)’하고 낯설게 만들기 김정운의 ‘에디톨로지’는 지식의 편집방법론이다. 에디톨로지의 느낌을 최대한 살려 번역하자면 ‘재미있는 지식의 편집놀이’ 정도가 어떨까? 그는 우리의 창의력이 실은 살아오면서 우리에게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요리조리 잘 짜 맞추는 편집능력의 다른 이름이다. 2014.11.24.
아이디어 11월 ‘문화가 있는 날’과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체험 첫눈이 내렸다. 벌써 시간이 이만큼이나 흘러 올해의 끝자락에 서 있음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11월이다. 이처럼 시대는 빠르게 변화하지만, 문화와 예술의 절대적인 가치는 예나 지금이나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고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을 안다. 2014.11.17.